'부산역사 이야기 총 35개 주제' 구성...시대별로 한눈에 볼 수 있는 책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부산시민이 꼭 알아야 하고 흥미로운 주제로 구성된 부산역사 교양서인 ’부산역사산책‘을 발간한다.
’부산역사산책‘은 부산역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선사~현대까지 시대별로 부산역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기획된 것이며, 책자의 구성은 각 시대별로 의미 있는 주제 35개를 선정해 사진·그림 등 시각자료를 활용해 시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책의 내용으로 도입부인 ’총설‘에서는 한국사 흐름 속에서 부산의 발자취를 담아내기 위해 ‘한국사 속의 부산’을 서술했고, ‘선사~고대시대’에는 ▷해운대 구석기 유적 ▷동삼동 조개무지(패총) ▷복천동 고분군 ▷범어사 등에 관해 기술했다.
‘고려시대’에서는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는 변방 부산 ▷정서가 지은 ‘정과정곡’ ▷만덕고개에 있었던 사찰이 사라진 이유 등을 기술했고, ‘조선시대’에서는 ▷국방‧외교‧무역의 중심지인 부산 ▷동래성 전투 ▷왜관 ▷조선통신사 ▷동래읍성 ▷금정산성 등에 대해서 살펴봤다.
‘근대시대’에서는 ▷개항 이후 근대 문물 수용창구가 된 부산 ▷객주 ▷전관거류지 ▷매축지마을 ▷일본군 주둔지 외양포 ▷영도다리 건설의 진실 ▷민족해방운동 ▷근대 관광도시 등에 관해 서술했고, ‘현대시대’에는 ▷피란수도 부산 ▷귀환동포 ▷피란민이 정착한 산동네 ▷부산에서 성장한 기업 ▷부마민주항쟁 ▷부산의 영화와 음식 등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또 ‘부록’으로 부산의 문화유산을 직접 찾아가 볼 수 있도록 ‘권역별 탐방로 브로슈어’를 같이 실었다.
‘부산역사산책’ 집필은 ▷고고학 ▷역사학 ▷미술사 ▷경제사 ▷영화사 ▷문화사 등 다양한 연구자들이 참여해 부산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서술했다.
이 책자는 부산 시내 공공도서관이나 부산광역시 문화유산과 시사편찬실 등에서 열람이 가능하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금의 부산을 만들기 위해 거친 역사의 파도 속에서 최선을 다해 온 부산지역 선조들의 발자취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역사교양서인 ‘부산역사산책’을 발간했다”며, “이번에 발간된 책을 통해 시민들이 부산역사 대한 관심과 이해를 바탕으로 애향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