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전국적으로도 그렇지만 지역사회에서 경찰의 서비스치안
(service policing)은 아주 중요한 요소다. 때문에 경찰의 서
비스 치안은 무엇보다 다음 세 가지 요건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
다.

<첫째> 항상 국민에게 가까이 가시권(closer and visible
to public)내에 있어야 하고 <둘째> 국민의 필요와 희망, 요
구에 적응(respond to cilizenis needs wants and
demands)할 수 있어야 하며 <셋째> 국민과 더불어 파트너로서
치안을 공동생산(as partners, co-producing policing)해
가는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경찰서비스는 본원적 서비스와 부가적 서비스로 나눌 수 있으
며, 이 두 가지는 얼마든지 새로운 방법으로 발전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문제는 친절한 지리교시, 안내, 상담, 민원
처리, 재난구조 등과 같은 본원적 서비스는 다른 행정기관이
더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국민은 경찰
에는 크게 감동하지 않는다.

반면 경찰이 법 집행이나 수사과정의 공정·시원한 사건처리 또
는 국민의 생활공간의 안전확보 등 부가적 서비스를 잘 하면 국
민은 더 큰 만족을 얻는다.

따라서 경찰의 치안서비스는 이런 분야의 부가적 서비스 영역 수
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고는 방법을 개발 확대해가야 할 것이
다.

즉 공정하고 분명한 법 집행 및 범죄 수사 활동을 통하여 국민
생활을 위협하는 ① 기초질서, 교통사고 ② 조직폭력, 학교폭
력 및 폭주족 ③ 마약 각성제 남용 및 지역불량배, 비행청
소년 ④ 어린이 부녀자 약취유인, 음난물 유통 및 성폭력 ⑤ 부
정식품, 의약품, 환경공해 등을 철저히 제거하여 "국민의 편안
한 삶"내지 "안심되는 삶의 공간"을 확보해 주는 일이 무
엇보다도 중요한 경찰 고유의 바람직한 서비스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때문에 앞으로 21세기 한국경찰은 위와 같은 서비스의 새로운
개발이 적극 요망된다고 하겠다.

구미=황석대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