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DRMO 미군사용부지 정화 후 ‘시민체육공원’으로 탈바꿈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와 부산진구청·토양정화 민관협의회는 1973년 4월 미군에 공여되어 재활용품 적치·폐품소각장 등으로 40여년간 사용됐던 부산진구 개금동 129-1번지 일원에 소재한 (구)미군군수물자재활용유통사업소(DRMO, defense reutilization and marketing office) 부지에 대해 지난 6월 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해 주변 지역의 토양환경 복원 등을 마쳤고, 현재는 부지 내 체육공원 등을 조성하고 있다.

‘부산 DRMO’는 1973년 4월 미군에 공여돼 재활용품 적치·폐품소각장 등으로 사용됐고, ‘한미연합 토지관리계획’ 등에 의해 미군부대를 평택과 대구 중심으로 이전 재편하면서 2008년 폐쇄조치됐으며 이후 협상과정을 거쳐 2015년 5월 국토부로 반환됐다.
이 부지는 중금속·유류·다이옥신(1급 발암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채 9년 동안 흉물로 방치돼있다가 시의 끈질긴 노력과 부산진구청과 토양정화 민관협의회의 적극적인 협치로 토양환경의 복원을 이뤄냈다.
끈질긴 대정부 설득으로 과거 미군 재활용품 및 폐품소각장 등으로 사용됐던 부지에 대해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82억원을 들여서 복원을 추진했다.
특히 이 사업은 국내 최초로 다이옥신(1급 발암물질) 정화에 열탈착공법을 적용해 성공한 사례로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시와 지역 시민환경단체는 지난 2018년 9월에 토양정화의 안전성·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해 토양환경분야 전문가·시민환경단체·공무원 등으로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총 14차례에 걸쳐 효율적인 정화방안·검증방법·감시 등의 협의와 자문을 통해 토양정화사업을 진행했다.
한편 민관협의회는 지난해 2월 개금3동 주민센터에서 인근 주민·이헌승 국회의원(부산진구을)·시의원·구의원·각계 전문가 등이 참여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해서 주민들의 폭넓은 의견을 수렴했고, 정화가 완료된 토양에 대한 2개 검증기관의 교차검증을 진행하는 등 주민들의 피해예방과 토양정화 추진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였다.
(구)DRMO 본 기지 및 주변 지역의 토양오염물질은 크게 ▷TPH(석유계통탄화수소) ▷중금속 5종(카드뮴, 납, 구리, 아연, 6가크롬) ▷인체에 치명적인 다이옥신 등이었으며, 총 8615㎥의 오염토양을 굴착해서 정화완료했다.
특히 다이옥신으로 오염된 토양은 정화 이전에 536pg-TEQ/g이었으나,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환경부 권고기준인 100pg-TEQ/g보다 낮은 43.8pg-TEQ/g으로 정화해 인체에 최소한의 피해가 없도록 했다.
‘pg’는 1조분의 1g이며, ‘TEQ’는 다이옥신의 독성 기준물질의 독성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시와 부산진구청·민관협의회에서는 토양오염 유해물질 정화현장에서 종사하는 근로자와 주변 지역의 주민들의 건강보호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 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요청했으며, 그 결과 단 한 건의 안전사고 없이 정화공정이 완료됐다.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조만간 검증기관의 검증보고서를 첨부해 부산진구청에 이행완료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시와 부산진구·민관협의회의 관계자는 “이번 정화사업은 향후 국내 미군 공여 반환부지 토양정화사업 추진 시 롤모델로 활용가치가 클 것이다”며, “그동안 주민들이 미군기지로 인한 피해를 감수한데 따른 다소간의 보상과 시민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향후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협의해 일부 부지를 테니스장과 게이트볼장 등 시민체육공원으로 조성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아울러 해당 부지는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에 따라 기지 반환 후 토지이용 용도(체육공원 등)에 엄격한 기준이 적용됐으며, 정화된 부지는 타 용도로 사용 전까지 추가로 오염되지 않도록 토양정화실태조사를 비롯해 철저한 관리가 되도록 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