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버스개혁시민위원회와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주최하는 대중교통요금체계와 신교통카드 도입 공청회가 지난 18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열렸다.
대중교통개편지원연구단 김경철 단당은 공청회에서 현행 대중요금체계는 수송원가보다 낮은 요금수준과 이용거리와 상관없는 균일 요금체계, 불합리한 구역설정에 따른 요금차이와 갈아탈 때마다 매번 내는 요금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단장은 지하철 경영 안정화와 버스서비스 고급화를 위해 수송 원가 보상 요금을 책정할 것이며 대중교통 이용 촉진을 위한 환승비용 부담을 최소화, 이용거리에 따른 합리적 요금체계 설정의 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며 시민본위의 서비스 개선과 업체의 합리적 경영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요금제 시행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신교통카드 도입에 대해 서울시 교통정보반 박종헌 과장은 국제표준을 채택하여 국제적 호환성을 확보하고 카드의 보안성 강화 및 다기능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GPS 시스템을 이용한 신교통카드는 전국 호환성이며 통합거리 비례제와 시간차등 요금제를 적용할 수 있고 온라인 집계시스템을 가질 수 있어 수요탄력적 배차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GPS 시스템 적용이 사생활침해의 소지가 있어 신교통카드를 시행하는데는 여러 단체와의 마찰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글/사진 이석기 기자
이석기
sklee@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