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방문 예결위·기재부 국비 관련 핵심관계자 개별면담

2021년도 부산시 국비확보를 위한 관계자 면담 실시(왼쪽 정성호 예결위원장, 오른쪽 중앙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사진제공=부산시)
2021년도 부산시 국비확보를 위한 관계자 면담 실시(왼쪽 정성호 예결위원장, 오른쪽 중앙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부산시 관계자들은 지난 11월12~13일 국회와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를 연이어 방문해 국회의 정성호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 위원장, 추경호 예결위 간사, 박재호‧박수영‧황보승희 예결위원,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K-뉴딜본부장, 최인호 국회의원(사하구 갑)‧하태경 국회의원(해운대구 갑)‧전재수 국회의원(북구·강서구 갑), 안도걸 기재부 예산실장, 한훈 기재부 경제예산심의관, 김완섭 기재부 사회예산심의관 등 예산확보의 핵심 인물들을 만나 내년도 부산시의 국비확보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요청했다.

시에서는 현재 총 23건의 2652억원의 국비 예산을 증액해서 요청한 상태이다.
주요사업으로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혁신 플랫폼 구축, 자원순환산업(post플라스틱) 클러스터 구축,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 등 국비 확보대상 사업과 국회 상임위원회 단계에서 예산이 반영된 가덕신공항 건설 용역비, 부전~마산 복선전철 철도차량 구입비, 경부선 철도시설 효율화 사업 등 부산의 백년대계를 위한 핵심과제이다.
특히 시는 도시철도 노후 전동차 교체, 도시철도 노후시설 개량, 도시철도 법정 무임승차 손실지원 등에 총 1288억원을 요청했다.

변 권한대행은 “부산도시철도는 일평균 94만명 이상의 부산·김해·양산 시민들이 이용하는 중요 교통수단이다”며, “도시철도의 안정적인 운영과 시민들의 쾌적한 이용을 위한 예산을 꼭 반영해달라”고 적극적으로 요청했다.

이번에 협의한 신규 예산이 반영된 사업은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혁신 플랫폼 구축(36억6000만원), 자원순환산업 클러스터 구축(30억원), 부산 서비스 융복합연구센터 설립(30억원), 연구소기업 클린성장지원센터 구축(10억원) 등 총 14건의 1614억원이다.
또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23억5000만원), 덕천동~아시아드주경기장(만덕3터널) 도로건설(81억4000만원), 을숙도대교~장림고개간 지하차도 건설(123억원), 분뇨처리시설 현대화사업(120억8000만원) 등 총 9건의 1038억원의 사업비는 국회 증액을 요청했다.

변 권한대행은 “내년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부산이 재도약할 기회이다.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국비확보에 사활을 걸겠다”며, “한국판 뉴딜과 연계해 중장기적으로 부산형 지역사업을 추진하고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니 적극적 지원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