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자원순환 시행계획, ‘자원순환형 녹색도시 부산’ 조성 목표

재순환
재순환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폐기물자원의 순환성 개선으로 자원순환 경제기반을 구축하고, 부산을 자원순환형 녹색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제1차 자원순환 시행계획(이하 ‘시행계획’)’을 추진한다.

이번 시행계획은 생산부터 재활용단계까지의 폐기물관리를 자원순환형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개선대책을 담았으며, 최근 환경부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그동안 시의 정책이 폐기물 발생 이후 사후관리 위주의 정책이었다면, 이번 시행계획은 정부의 자원순환 기본계획에 따라 부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면서 순환이용(재활용)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한 ‘폐기물자원의 순환성 개선을 통한 자원순환 기반 구축’을 비전으로 2022년까지 국내 총생산(GDP) 대비 폐기물 발생량을 3.9% 감축, 현재 62.7% 수준인 순환이용률(실질 재활용률)을 69.6%까지 향상, 폐기물 최종처분율은 30.5%에서 19.8%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시는 이 목표를 위해 폐기물 발생량 감량을 최우선 기조로 하면서 폐기물자원의 에너지화와 폐기물관리의 핵심 주체인 시민이 주도하는 폐기물 가능자원의 원천적 거부(Refuse)를 기반으로 하는 5R 정책을 강화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의 안전‧상호보완적 운영체계 확립과 구‧군과의 폐기물관리 역할을 명확히 했다.

‘5R’은 Refuse(거부), Reduce(절약), Reuse(재사용), Recycle(재활용), Recovery Energy(회수에너지)를 말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페트병 등 1회용품이 대폭 증가하는 상황에서 분리배출을 통한 자원재활용으로 부산시가 자원순환형 도시로 앞서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부산을 자원순환형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이며, 기업‧시민‧단체가 부산을 자원순환형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함께 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시에서 추진하는 시행계획은 ‘생산-소비-관리-재생’ 전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을 저감하는 한편 발생한 폐기물은 최대한 생산에 재투입하고, 시민참여 협치를 구축해 자원순환 도시 부산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이다.

한편 ‘자원순환 시행계획’ 단계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산단계’는 생산제품의 자원순환형 제품설계 및 생산확대를 위해 자원순환제품 인정제를 도입‧운영하고, 이를 위해 사업장폐기물의 자주적 발생량 감량을 유도하는 한편 제품의 재질‧디자인의 설계를 자원순환성을 최대한 고려하도록 정책적 지원도 추진한다.

두 번째 ‘소비단계’는 생활폐기물·음식물류폐기물 등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계폐기물 발생량 감량정책을 계속 강화해 추진하며, 이를 위해 생활계폐기물 발생량 저감을 위한 기존 시책의 성과분석을 토대로 기존 시책을 개선‧보완해 추진하고 생활계폐기물과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의 지속적인 감량정책을 발굴해 추진한다.

세 번째 ‘관리단계’는 부산형 제도적 장치‧특화 시책을 구비하고, 건설‧의료폐기물 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개선책을 마련했으며, 세부적으로 재활용률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책과 자원순환제도 조기정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재생단계’는 지역자원순환산업 생태계의 육성기반을 구축하고, 부산형 재활용산업 활성화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 해양수산을 연계한 지역특화 업사이클산업 육성전략을 구체화하고 광역 연계형 재제조산업 육성전략을 추진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