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5회, 소장품 1회, 이우환공간 2회, 어린이갤러리 2회 전시

부산시립미술관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립미술관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 시립미술관은 오는 3월부터 올 한해 기획전시 5회·소장품전시 1회·어린이갤러리 2회·이우환공간 전시 2회 등 총 10회 전시 및 전시연계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먼저 기획전시 첫 번째는 오는 3월31일부터 8월22일까지 미술관 2층 대·소전시실에서 개최되는 기획전시 ‘부산, 형상미술’로 1980년대 부산미술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형상미술을 재조명해 1980년대 한국미술사를 재고하고 그 흐름 속에서 부산미술의 위치와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해 진행된다.

또한 부산미술관은 코로나19로 변해버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지역 대표 미술관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특별기획전 2회를 마련했다.

기획전시 두 번째는 오는 4월23일부터 9월12일까지 미술관 3층 대전시실에서 국제주제 특별기획전 ‘이토록 아름다운’은 코로나19·재난·불안시대 등의 사회적 위험성을 안고 살아가는 동시대인들에게 치유와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을 통해 삶의 활력을 선사할 예정이다.

기획전시 세 번째는 오는 9월15일부터 2022년 2월20일까지 미술관 2층 H실·소전시실 1실에서 비대면 시대 맞춤형 특별전 ‘오노프 ONOFF’를 진행한다.

이 전시회는 코로나19가 앞당긴 디지털 소통방식을 적용한 실험적인 게임형 전시회이며, 각종 디바이스로 재생되는 이미지·영상작품을 웹상의 가상전시공간에서 미술관에 방문하지 않아도 게임에 참여하듯 관람·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디지털공간 게임형 전시이다.

기획전시 네 번째는 오는 9월15일부터 2022년 2월20일까지 미술관 2층 대·소전시실에서 한국현대미술작가의 조명시리즈 ‘한국현대미술작가 조명Ⅳ: 구정아’는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구정아 작가의 개인전이다.

이 전시회에서 구 작가는 일상성 속에 숨겨진 다채롭고 섬세한 구조, 현실과 비현실 사이의 관계, 그 모호한 경계에 대한 평면·조각·설치·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작품을 총망라해 다양한 작업세계를 보여주는 조각 설치전시회이다.

기획전시 다섯 번째는 오는 10월5일부터 2022년 3월27일까지 미술관 3층 대전시실·이우환공간 등에서 프랑스 대표작가인 크리스티앙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의 작품세계를 조명하는 ‘이우환과 그 친구들Ⅲ-볼탕스키’ 전시회이다.

이 전시회는 2021년 마지막 기획전으로 ‘쇼아(Shoah)’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언제든 반복될 수 있는 인류문제를 다루고 인간의 기억·죽음·부재와 존재에 대한 깊은 통찰과 계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5회의 기획전시와 더불어 부산미술관은 오는 3월5일부터 8월15일까지 미술관 소장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는 소장품전시 ‘하이라이트Ⅲ’는 설치작품을 중심으로 부산미술관의 정체성을 살펴보고 부산시민들과 소통하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오는 1월29일부터 8월22일까지 어린이갤러리에서 부산미술관의 미술전시와 연계해 어린이들의 상상력과 창조적 생각을 높이며, 소리를 주제로 하는 ‘네버랜드 사운드랜드: 권병준, 소리산책’를 운영한다.

또 오는 9월10일부터 2022년 2월20일까지 어린이갤러리에서 환경운동가·그린디자이너로 활동하는 윤호섭 작가의 환경을 위한 작업세계를 관객과 함께 소통하고 체험하는 전시 ‘초록이 좋아’를 진행한다.

그리고 오는 4월23일부터 9월12일까지 이우환공간에서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이우환 작가의 주요작품을 살펴보는 ‘이우환 작품전’을 펼친다.

더불어 부산미술관에서는 12월31일까지 이우환공간에서 일본 나오시마에 이어 설립된 세계 두 번째 이우환미술관으로 1층의 조각설치작품, 2층의 회화작품 등 이우환의 작품세계 전반을 중요 대표작을 통해 보여주는 상설전시회도 연중 운영된다.

2021년 부산미술관의 전시일정을 공개하며 기혜경 부산시립미술관장은 “올 한해도 ‘쾌와 치유, 위로’라는 미술의 주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준비했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지친 시민들의 몸과 마음이 미술로 치유됐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