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 질환은 멜라닌 색소가 과다하게 증식하면서 해당 부위가 주변 피부보다 어두운색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종합적으로 가리킨다. 표피층에 깨알처럼 진한 갈색으로 나타나는 주근깨, 좌우 대칭으로 넓고 깊게 나타나는 기미, 눈 주위 푸르스름한 반점 형태로 나타나는 오타모반, 노화가 진행되면서 검은 반점 형태로 나타나는 검버섯 등을 포함한다.

멜라닌 색소는 자외선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자외선이 강한 여름에 색소 질환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며, 겨울이 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색소 침착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도 색소 침착이 사라지지 않아 별도의 색소 치료가 필요하다.

색소치료의 기본 원리는 색소 질환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 색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레이저 기기를 사용하는 게 보편적이다. 특히 다양한 색소치료기기 중 유럽의 포토나사(社)에서 개발한 포토나 레이저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저출력 방식의 듀얼 파장 레이저를 사용하여 멜라닌 색소를 선택적으로 파괴하기 때문에 주변 조직 손상이 적어 자극에 민감한 피부의 색소치료에 많이 쓰인다고 한다.

사진=신사동 에젤피부과 박지혜 원장
사진=신사동 에젤피부과 박지혜 원장

신사동 에젤피부과 박지혜 원장은 "빔 프로파일과 단일 펄스 에너지가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며, 표피층부터 진피층까지 효율적으로 열전달이 가능해 다양한 색소질환에 대한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장비로는 치료가 어려운 색소 질환도 3D 치료법을 실현한 포토나 레이저를 이용해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콜라겐 생성 작용을 하는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피부톤 개선, 모공 치료, 리프팅 효과 또한 부수적으로 기대해볼 수 있다. 시술 후 딱지가 거의 생기지 않아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없다는 점 또한 장점으로 꼽히며,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적다"고 한다.

한편 "색소 질환은 겉보기엔 비슷해 보일지라도 실제 병변의 깊이와 멜라닌 색소 증식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박지혜 원장은 "색소치료 경험을 보유한 피부과 전문의를 통해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분별한 시술은 부작용 및 결과 불만족을 야기할 수 있기에 해당 분야에 관련해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지닌 의료진과 반드시 충분한 상담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