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까지, ‘양절’메밀 안정생산 기술개발 및 종자생산 확립

[제주=환경일보] 김남수 기자 = 제주자치도 황재종 농업기술원장은 23일 국내 육성 메밀의 안정생산 기술개발 및 종자생산 체계 확립 연구를 본격 시작한다고 밝혔다.
제주메밀은 전국 2,330ha 중 47.5%를 차지하며 연 974톤 생산으로 전국 1위 작물이나 품종 미상의 혼종 종자 사용과 재배기술 부족으로 품질과 생산량이 낮아 어려움을 겪고있다. 제주지역의 국내 품종 점유율은 0.8%에 불과하며, 생산량은 80kg/10a로 전국 116kg 대비 69% 수준으로 메밀 재배 시 잡초발생 등에 따른 현장애로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또한 메밀 단작물 재배로 인한 연작 피해, 소득 감소 등 문제가 발생하므로 메밀 앞·뒷그루에 적합한 작물 선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지역특화 연구는 국내 육성 품종 ‘양절’메밀을 이용하여 금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수행되며, 노동력 절감 재배기술 개발, 농가 현장 연구, 메밀 현황 조사 및 채종단지 조성으로 제주메밀의 안정적 생산을 지원한다. 이에 메밀 현황 조사를 통한 경영개선 방안 마련에 나서며 이번 연구가 완료되면 노동력 절감 및 안정생산 재배 매뉴얼 개발, 품질 좋은 우리 품종 종자 보급 체계 구축으로 제주메밀 산업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성년 농업연구사는 “국내 육성 품종 보급체계 구축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로 제주메밀을 지역특화 전략작목으로 육성하고 농업인의 소득증대에 이바지 하겠다”고 밝혔다.
김남수 기자
car337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