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시장, 지역전문가, 시민·환경단체···'부산 물문제' 대화

맑은 낙동강·깨끗한 취수원 확보를 위한 전문가 시민간담회 개최현장 /사진제공=부산시
맑은 낙동강·깨끗한 취수원 확보를 위한 전문가 시민간담회 개최현장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지난 6월18일 오후 2시에 시청 7층 영상회의실에서 전문가 및 시민단체 대표들과 ‘맑은 낙동강·깨끗한 취수원확보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오는 6월24일 개최되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 본회의 전에 ‘낙동강유역 통합 물관리방안’에 대한 관련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추진됐다.

한편 간담회에서는 ▷낙동강 통합 물관리방안 추진사항 및 향후계획 보고 ▷물문제 해결방안 통과 시 추진방향 ▷영향지역 반대 시 대책에 대한 자문 등이 논의됐다.
 

전문가 시민간담회에 참석한 박형준 부산시장 /사진제공=부산시
전문가 시민간담회에 참석한 박형준 부산시장 /사진제공=부산시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의 숙원사업인 맑은 물 확보를 위해 힘을 써준 시민단체들의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안건이 유역위 본회의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리며, 아울러 영향지역인 합천과 창녕 주민들과 상생할 수 있도록 소통창구가 돼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정부는 낙동강의 물문제 해결을 위한 ‘낙동강유역 통합 물관리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했고, 지난해 12월 위원회에 낙동강 수질개선 및 취수원 다변화사업을 안건으로 상정했다.

'낙동강유역 통합 물관리방안' 연구용역은 2019년 3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진행됐다.

시는 그동안 대체 상수원사업이 실패한 요인으로 해당 지역주민들과 소통의 부재를 꼽았다.

이에 지난 4월 박형준 시장이 취임한 이후 합천·창녕군 등 영향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이를 반영한 대책을 모색해왔다.

또한 그 대책으로 ▷취수원 주변의 상수원보호구역 확대금지 ▷해당 수자원의 지역주민 우선 사용 등과 더불어 수자원은 지역민의 소중한 자산임을 인식해, ▷적절한 보상방안을 요구했다.

아울러 시가 건의한 영향지역 주민지원사업과 주민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이번 통합 물관리방안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통합 물관리방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해 ▷구미 공공하수처리장과 대구의 성서산단 공공폐수처리시설 대상 과학적인 미량오염물질 관리방안 마련 ▷대규모 산업단지(150만㎡)에 완충 저류시설 추가설치(19→26개) ▷수질자동측정망 확충(24→34개) ▷본류로 직접 방류되는 공공하수처리장에 대한 고도처리시설도 추가도입 ▷비점오염 및 가축분뇨처리 강화 ▷총유기탄소(TOC) 수질오염 총량제 도입 ▷수변공간 관리강화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2030년 기준 물금의 수질기준이 2등급(약간 좋음) 수준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질개선 노력과 더불어 취수원 다변화사업도 병행해 추진한다.

정부는 낙동강 하류지역인 부산·경남의 물공급안(案)으로 합천의 황강 복류수 45만톤과 창녕의 강변여과수 45만톤 등 총 90만톤을 개발해 중동부경남에 48만톤을 우선 공급하고, 나머지 42만톤을 부산에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시는 부산의 필요량 95만톤 중 나머지 53만톤은 회동수원지 개량 10만톤과 초고도정수처리 43만톤으로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이 안건을 약 6개월간 심의했으며, 오는 6월24일 본회의를 열어 최종방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