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국제기후금융·산업컨퍼런스 개막
‘탄소중립 전략, 민간 참여 확대’ 방안 모색

[송도컨벤시아=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2021 국제기후금융·산업컨퍼런스(ICF 2021)’가 12일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했다. 주요 테마는 ‘기후재원에 대한 민간의 참여’다. 

지난 2015년 파리협정의 내용들이 실천돼야 하는 ‘신기후체재’인 2021년, 코로나19(COVID19) 극복과 탄소중립 전환이라는 글로벌 과제 앞에 우리의 몫은 회복과 전환을 앞당기는 것이다. 기후재원에 대한 글로벌 목표에 얼마나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지는 여기의 핵심 요소다. 자국의 경제적 안정,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문제 사이에서 우린 어떻게 균형을 맞춰 가야 할까.  

국제기구와 중앙 및 지방정부를 비롯한 기업, 청년단체, 협회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은 발표와 토론을 통해 마주한 고민들을 공유하고 비전을 제시했다.  

온·오프라인 컨퍼런스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ICF 2021은 인천광역시와 인천연구원이 공동주최 하고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 GCF(녹색기후기금)가 공동주관을 맡았다. 기획재정부와 환경부는 후원으로 참여했다. 오전 10시30부터 진행된 개회식 현장에는 ‘탄소중립 전략과 민간의 참여 확대’를 주제로 이용식 인천연구원장을 비롯한 라운드테이블 패널들이 모였다. 

영상으로 인사를 전한 박남춘 인천광역시장, Javier Manzanares GCF 부사무총장,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부터) /사진제공=인천연구원 
영상으로 인사를 전한 박남춘 인천광역시장, Javier Manzanares GCF 부사무총장,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부터) /사진제공=인천연구원 

“글로벌 기후재원 목표 앞당기자” 

박남춘 인천광역시장은 영상 개회사에서 “인류의 마지막 세대가 될 수 있다는 절박함으로 기후위기에 응답하고, 지속가능하면서 안전한 미래를 위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의 대전환을 이뤄내자”며 지난 2014년부터 이어온 국제기후금융·산업컨퍼런스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코로나 극복을 위한 경제 안정에 공공재원이 쏠리면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공격적인 투자엔 조금씩 차질이 생기고 있다”면서 “코로나 극복과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과제의 동시 달성을 위해 민·관·정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Javier Manzanares GCF 부사무총장은 “글로벌 차원의 녹색전환을 위해선 우리 사회가 준비돼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글로벌 금융에서의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GCF는 민간과 함께 이 도전과제를 극복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또 이용식 인천연구원장은 “기후정책과 기후금융에 관한 다양한 이슈들을 발굴해서 관련된 정책 수립에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돼야 한다”는 ICF의 의미를 되짚었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주요 패널들  /사진=최용구 기자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주요 패널들  /사진=최용구 기자 

이어진 라운드테이블(좌장 손성환 인천광역시 GCF 협력 자문대사)에선 ‘탄소중립 전략과 민간의 참여확대’에 관한 본격 논의가 진행됐다. 국제기구(GCF, UNESCAP)와 주한영국대사관, 청년단체 관계자들의 목소리가 공유됐다. 기후위기라는 냉철한 시각에 바탕을 둔 여러 시사점들이 나왔다. 

Mark Buttigieg 주한영국대사관 참사관은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코에서 열리는 ‘제26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발언의 무게를 뒀다. Mark 참사관은 “COP26을 통해 국제사회가 지구의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하로 유지한다는 뜻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라며 “목표 달성을 위해 우리가 강조해야 할 건 바로 이행”이라고 말했다.  

‘COP26의 준비과정에서 시민단체 등 NGO들의 대표성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 일각의 우려 제기에는 “그들의 시각을 면밀하게 경청하고 있다”고 답했다. 덧붙여 “기후위기가 무거운 주제인 만큼 온라인보단 직접 대면을 통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으로, 백신 수급이 원활치 않은 국가에는 백신을 직접 제공해서 오프라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토론 패널로 참석한 손성환 인천광역시 GCF 협력 자문대사, Mark Buttigieg 주한영국대사관 참사관,  Pa Ousman Jarju GCF 국가프로그래밍 국장(왼쪽부터) /사진제공=인천연구원 
토론 패널로 참석한 손성환 인천광역시 GCF 협력 자문대사, Mark Buttigieg 주한영국대사관 참사관,  Pa Ousman Jarju GCF 국가프로그래밍 국장(왼쪽부터) /사진제공=인천연구원 

그는 코로나로 인한 경제회복을 위해 오히려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났다는 시각도 의식했다. 그러면서 “경제적인 이유가 기후위기를 피할 수 있는 핑계가 돼선 안 된다. 지난 오랜 시간 경제는 늘 부침이 있었고 또 극복을 해왔기에 우리는 보다 더 나은 환경친화적 재건을 이룩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뒤이어 Pa Ousman Jarju GCF 국가프로그래밍 국장은 “개도국들이 탄소중립과 저탄소경제로 전환하는 데 있어 당사국, 공여국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표했다. 

탄소중립,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김정인 2050 탄소중립위원회 경제산업분과위원장(중앙대학교 교수)은 제조산업이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사정을 감안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그에 대한 실천을 얘기하면서 “지자체와 민간의 인식도를 높이고 참여를 확대해야 하는데, 이는 결국 우리 스스로부터가 습관을 바꾸고 지금 당장 무엇인가를 해야 하는 일”이라고 피력했다.

패널로 참석한 김정인 2050 탄소중립위원회 경제산업분과위원장(왼쪽)과 이용식 인천연구원장 /사진=인천연구원
패널로 참석한 김정인 2050 탄소중립위원회 경제산업분과위원장(왼쪽)과 이용식 인천연구원장 /사진=인천연구원

이용식 인천연구원장도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시민들의 굳은 의지가 필요하다”고 궤를 같이했다. 또한 맞춤형 탄소중립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고 기후금융에 대한 한국의 리더십을 키운다는 취지로 ‘GCF 복합단지’의 조성을 추진 중이란 소식도 알렸다.

Ganbold Baasanjav UNESCAP 동북아사무소장은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 “석탄발전의 비중이 아직 높은 만큼 기후 리스크 해결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으며, 국제사회를 대상으로는 “기후예측 능력을 높여서 불확실성을 줄이고, 그만큼 이상기후의 현상을 제대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한다혜 2050 인천 탄소중립비전포럼 청년분과위원은 탄소중립 전환이란 난제를 풀어갈 아이디어를 정책 당국에 제시했다. 

한 위원은 “탄소중립 관련 공교육을 의무화해 달라”면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진학하면 막상 관련된 교육을 받을 만한 곳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Ganbold Baasanjav UNESCAP 동북아사무소장(왼쪽)과 한다혜 2050 인천 탄소중립비전포럼 청년분과위원 /사진제공=인천연구원
Ganbold Baasanjav UNESCAP 동북아사무소장(왼쪽)과 한다혜 2050 인천 탄소중립비전포럼 청년분과위원 /사진제공=인천연구원

그는 각 대학교나 기업과 같이 청년들이 속한 단체에 탄소중립과 관련된 교육 이수시간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학생들에게 교육비를 지급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또한 탄소중립에 대한 공모전을 지속적으로 열면 청년들이 스스로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더불어 탄소중립 관련 행사나 캠페인을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이행할 수 있는 동아리 개설에도 힘써 달라고 요구했다. 한 위원은 “이를 통해 청년들에게 본인들이 직접 미래를 이끌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줌과 동시에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고 효과를 기대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