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훈 의원, ‘결혼준비기·공공지원대책’ 강화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의회 김태훈 시의원(연제구1)은 11월2일 오전10시 시의회 5층 본회의장에서 부산은 2020년 합계출산율 0.75%와 연간출생아수 1만5000명 수준으로 지난 10년간 출생아수가 45%나 감소하는 등 세계에서 저출산문제가 가장 심각한 도시임을 밝혔다.
이번 부산의 저출산문제에 대한 제언은 김 의원이 시의회 제300회 제1차 본회의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했고, 저출산문제의 근원에는 혼인율 하락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부산의 저출산 대응사업은 출산·보육 등 혼인한 이후의 지원에 집중되면서 결혼계획·결혼식 등 미혼에서 결혼으로의 이행기 과정의 대한 정책적 대응은 전무한 실정이라며 지적하고, 이에 결혼준비기 다양한 공공지원대책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부산은 2010년 연간 2만195건(조혼인율 5.7%)에 이르던 혼인건수가 2020년 1만2128건(조혼인율 3.6%)으로 10년 만에 연간 혼인건수 약 40%가 감소했다.
그리고 2017년 (재)부산여성가족개발원의 연구에 따르면 결혼을 하지 않은 주된 이유로는 부산의 미혼자 5명 중 1명은 ‘결혼비용이 부담되거나 마련되지 않아서가 21.2%이며, 남성 응답자의 경우 결혼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31.6%)는 신혼부부의 88%도 결혼비용이 부담이 됐다고 응답해 주택마련과 결혼식 비용의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 의원은 결혼친화적 여건 조성을 위해 ▷'결혼축하금 지원사업' 적극 모색 ▷젊은이들의 눈높이 맞춘 '시립공공예식장' 건립 ▷'결혼웨딩정보 공공지원센터' 운영 ▷'결혼친화환경 조성 위한 조례 제정' 등을 부산시에 제언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가정의례의 기본 골간인 관혼상제 중 상례에 대해 공공장례식장과 납골 및 공공묘지 운영 등 다양한 공공지원을 하고 있듯이 이제는 혼례도 가족형성을 촉진할 공공정책 대상으로 인식이 전환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