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4억원 증액, 중소·중견 부품업계 미래차 전환 촉진 관건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도 자동차 분야 예산 총 4709억원을 받아들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도 자동차 분야 예산 총 4709억원을 받아들었다.  

[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14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는 내년도 자동차 분야 예산이 올해보다 1094억원 늘어난 총 4709억원으로 최종 결정됐다고 밝혔다. 

전기·수소·자율차 등 미래차 기술경쟁력 확보 및 사업 전환에 대한 투자확대 기조가 유지됐다.

2053억원의 예산이 편성된 2019년을 시작으로 2020년(3167억원)과 2021년(3615억원)에 이어 연속으로 확대됐다. 

내년 예산은 크게 ▷미래차 기술개발(R&D, 4157억원) ▷사업화지원(552억원)으로 나뉘어 쓰인다. 

전기차의 경우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엔 600km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배터리시스템과 주행효율 향상의 연구를 지속한다.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기술’을 위해 30억원을 신규로 세웠다. 

수소차 예산은 수소 상용차(트럭·버스)용 핵심부품 국산화와 건설기계·항공 분야 모빌리티에서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활용된다. SUV용 하이브리드시스템 고도화에는 37억원을 편성했다.

전기이륜차, 전동킥보드, 교통약자 이동수단 등 친환경 PM(Personal Mobility) 핵심기술개발과 실증의 사업도 이행한다. 

특히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한 이차보전사업과 ‘전환기 대응 R&D 사업’을 신설한 게 올해와 다른 점이다. 미래차 전환 관련 설비투자 자금이나 M&A 자금 대출시 금리의 2%를 보전한다. 융자 규모는 1700억원이다.

아울러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전장화, 경량화, 배출가스 저감 기술 등에 220억원을 세웠다. 

오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Lv.4) 상용화에 다가간다는 목표는 유지된다. 이에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안전성·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의 예산은 확대했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에 362억원, 미래차디지털융합산업실증플랫폼구축 96억원,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개발 및 서비스 실증엔 78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인지가 어려운 주행환경(블랙아이스, 역광, 우천 시 차선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와 운전자 상태 감지 등을 위한 ‘초고난도 자율주행모빌리티 인지예측센서 기술개발’ 부문을 신규로 만들고 58억원을 투입한다.

산업부는 이 밖에 차량용 반도체 개발 등을 통해 공급망을 안정시키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는 것과 인력 부족을 감안해 내년엔 총 2300명까지 인력양성의 규모를 확대(올해 1100명)한다는 지출 방침도 함께 전했다.  

사업별 예산 집행은 내년 1월 중 신규 사업자 접수 및 선정 공고를 거쳐 4월부터 집행에 들어간다. 

산업부 자동차과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이 미래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