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협약 체결, 문화공원 2만6천㎡ 조기 개방

[환경일보]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12월23일(목), 부산광역시, 부산항만공사와 부산항 북항 1단계 항만재개발사업(이하 ‘북항 1단계 재개발’)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북항 1단계 재개발은 2006년 부산 신항이 개장되면서 유휴화 된 북항을 국민들에게 친수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작돼 도로와 공원 등 공공시설과 부지 102만㎡ 조성 등 전체면적 153만㎡ 공간에 약 2조 4천억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자되는 국내 1호의 대규모 항만재개발사업이다.

그간, 해수부는 자체 감사(올해 4~7월) 결과 행정절차 미이행 등 북항 1단계 재개발 업무추진에 하자가 있음을 확인했고, 이를 치유하기 위해 지난 10월 북항 1단계 재개발 사업계획 변경(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트램 차량 비용과 공공콘텐츠(1부두 복합문화공간 및 해양레포츠 콤플렉스) 등 시행 주체 및 비용 부담과 관련해 논란이 있었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이에 따라, 해수부는 부산광역시 및 사업시행자인 부산항만공사와 실무협의회를 통해 이견이 발생된 사업에 대하여 합의(안)을 마련했고, 지역사회 최인호, 안병길 국회의원의 협조를 통해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 업무협약서’를 마련했다.

업무협약서 내용은 ▷1부두는 역사공원으로 변경하여 보존하고 복합문화공간 대신 대체되는 공원시설 계획 수립, ▷해양레포츠 콤플렉스는 부산항만공사가 북항 마리나 시설과 연계하여 추진, ▷트램 사업 추진 관련, 기반시설에 트램 차량의 포함 여부는 법제처 법령해석 결과를 따르는 등 주요 이견 사항에 대한 합의 내용이 담겨있다.

업무협약과 함께 해수부는 문화공원 2만 6천㎡ 부지를 협약식 당일부터 개방해 공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하면서, 내년 1월 2일까지는 크리스마스존, 이글루존과 같은 이벤트 장소를 별도로 마련해 즐길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한다고 알려왔다.

내년 5월에는 더 많은 면적의 공원과, 경관수로, 보행데크 등의 공공시설을 전면적으로 개방하여 북항을 바다와 함께 휴게공간으로 온전히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문화공원 1호 조감도(시설면적 : 2만6천㎡) /자료제공=해양수산부
문화공원 1호 조감도(시설면적 : 2만6천㎡) /자료제공=해양수산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북항 1단계 재개발 사업계획에 대한 합의안 마련으로 전환점을 맞이하였으며, 이를 통해 싱가포르의 마리나베이, 런던의 도크랜드 등 세계적인 친수공간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도록 정부와 지자체 및 사업시행자가 합심하여 재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뜻을 모았으며, 부산 시민과 국민들에게 편히 쉬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에 있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