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R&D 예산 490억원··· 전년 대비 170억원 증가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95억원, 독성평가기술 20억원 투자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의 올해 R&D(연구개발) 예산은 12개 사업 총 490억원으로 지난해 320억원보다 170억원가량 증가했다.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 구축 신규사업에 95억원, 20억원이 각각 투자된다. 식약처 올해 총 예산은 전년대비 531억원(8.7%) 늘어난 6640억원이다.

식약처의 연구개발은 안전 기준·규격을 만들고,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 개발로 제품화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제품 기반기술을 개발·지원하는 타 부처와는 차이가 있다. 식약처 연구개발은 허가부터 생산, 판매, 유통, 소비까지 연구개발 영역이 광범위하고 연구개발 결과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력이 매우 크다.
식약처는 정부 규제가 필요한 제품의 안전성, 유효성, 품질, 성능 등의 평가부터 허가·사용까지 규제적 의사 결정에 활용되는 모든 도구, 기준 및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규제과학 연구개발을 맡는다. 규제과학은 시행착오 없는 제품 개발과 빠른 시장진입을 위한 필수 분야이다.
올해 식약처 연구개발 주요 예산 편성은 규제과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우선 규제과학 연구인력 양성과 인프라 확충확대를 위해 50억원이 투자된다. 빅데이터 등 혁신 미래기술 수요 기반의 규제과학 연구 강화를 위한 출연연구사업이 확대 편성되고,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조성에 74억원, 스마트 식품안전관리에 58억원, 오가노이드 기반 독성평가기술 개발 연구에 20억원이 책정됐다.

또한, 국가 연구개발의 성공률을 높이고, 제품의 시장진입률을 높이기 위한 국가 연구개발 파트너십도 강화된다. 과기부, 산업부, 복지부, 질병청 등이 mRNA 백신 플랫폼 개발을 위한 협업연구에 참여한다.
중소기업 대상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규제 대응 기술 개발·지원 연구에는 식약처와 중기부가, 5G·MEC기반 미래형 유연의료 시스템 범부처 구축연구를 위해 과기부, 산업부, 복지부가 협업하기로 했다.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와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에는 식약처, 과기부, 복지부가, 첨단바이오의약품 생산시스템 기술개발 사업에는 식약처, 산업부 등이 과제에 참여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위기를 반영한 식약처의 연구개발 투자를 살펴보면 2020년까지 시행된 식·의약 안전기술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시대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수립에 중점을 두고 투자 방향을 설정했다. 규모와 환경에 집중됐던 1차와 달리 정책의 질적 성과와 국민과 밀접한 정책으로 변화했다.

우선 신기술 활용 코로나 백신·치료제 등의 감염병 대응 및 지원 연구를 위해 95억원의 예산을 투여하기로 했다.
새로운 플랫폼으로 개발되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신속한 안전성 유효성 평가기술 개발 및 현재 보급 중인 백신의 안전한 유통 기술 및 부작용 관리방안 연구 사업도 진행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