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까지 15개 사업 4082억원 투입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함께 녹산국가산업단지(이하 ‘녹산국가산단’)를 스마트그린산업단지로 전환하기 위해 2월 16일 오후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부산녹산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을 출범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스마트그린산업단지’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대표과제로 지역 노후산업단지를 스마트 친환경 제조공간으로 전환하는 사업이며, 지난 2019년 창원·반월시화산단을 시작으로 현재 녹산국가산단을 포함해 전국에 7개 산업단지가 지정돼있다.

‘녹산국가산단’은 지역경제와 산업물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부산 유일의 국가산업단지로 지난해 3월 산단대개조사업의 거점산단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동시 선정됐다.

‘산단대개조사업’은 산업단지 일자리창출과 제조업 혁신을 위해, ▷일자리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하는 범부처 협력사업이다.

이번 ‘부산녹산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사업’은 산업단지 제조혁신·스마트그린 전환·청년친화형 산업단지 등을 사업목표로 ▷스마트화 통한 ‘디지털 선도단지’ ▷산단 인프라 개선 통한 ‘스마트그린 물류단지’ ▷일자리 생태계 강화 등을 통해 녹산산단을 ‘청년친화형 인재양성 단지’로 변모시켜나갈 계획이다.

시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스마트산단 제조혁신기반 구축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 ▷스마트 편의시설 확충 등 9개의 '디지털 전환 사업',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등 3개의 '에너지자립화사업', ▷스마트 가든볼 사업 ▷산업단지 환경개선 펀드사업 등 3개의 '친환경기반 조성사업' 등에 총 4082억원 규모의 15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부산녹산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사업’을 통해 녹산국가산단이 2026년까지 ▷생산유발효과 806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679억원 ▷고용유발효과 5552명 등 기대효과를 유발하는 3대 성과목표를 정하고, 지역혁신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통해 탄소중립 산단화를 위한 신규사업 발굴 및 국비확보 등에도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또한 산단대개조사업도 총 32개 사업에 1조691억원으로 최종 확정하고, ▷거점산단인 ‘녹산국가산단’ ▷연계산단인 ‘사상공업지역’ ▷신평장림산단 연계지역인 ‘지사지역’ 등을 스마트물류 연계 스마트그린 모빌리티 핵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허브단지로 구축하기 위해 올해부터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나설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산업단지는 부산제조업의 중심이며, 생산·고용 등 지역경제의 절대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지역산업 혁신은 산단 혁신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라며, “녹산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 출범과 함께 녹산국가산단의 혁신 전환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그린스마트도시 부산을 조성하는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녹산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은 사업단장과 ▷기획·예산·성과·홍보·협의체 운영 담당하는 '산단혁신기획팀'(3명) ▷디지털전환관련 사업 담당하는 '스마트산단팀'(4명) ▷그린전환관련 사업 담당하는 '그린산단팀'(3명) 등 11명으로 지역 산업단지관련 기관별 직원이 파견돼 운영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