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산산불 진화 투입 가능한 운영체계 마련 및 숲가꾸기 사업 확대
산불 피해지 복구에 전력‧‧‧ 융자금 등 임업인 경영회복 지원 병행

[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산림청은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최근 산불 발생 실태와 진화과정을 짚어보고, 앞으로 발생될 대형산불에 좀 더 철저한 대비 태세를 갖추기로 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정부는 브리핑을 통해 초대형산불에 대한 대응 지침을 마련하고 총 다섯 가지의 방안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산림청
정부는 브리핑을 통해 초대형산불에 대한 대응 지침을 마련하고 총 다섯 가지의 방안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산림청

이를 위해 경북과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초대형산불에 대한 대응 지침을 마련하고 헬기와 인력 확충, 산불에 강한 산림을 조성해 나가는 등 5가지 방안으로 ▷산불에 관한 대응 경과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시사점 ▷산불피해지 신속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복구·복원 ▷동해안 지역에 대한 단기대책인 산불대응 긴급 조치사항 ▷향후 중장기 개선 방향 등을 설정했다.

올해는 50년 만의 최악의 겨울 가뭄으로 산불이 3월 초부터 짧은 시간에 다수 발생했으며, 3월 말까지 발생된 산불은 304건(1월1일~3월30일)으로 전년 동기(167건) 대비 1.8배 증가했다.

특히, 3월4일부터 5일까지, 2일간 발생한 경북(울진, 삼척)‧강원(강릉‧동해, 영월) 지역의 동시다발 산불은 강풍(최대 풍속 26m/s)으로 인해 대형산불로 확산됐으나 다행히 인명피해 없이 산림 2만1000ha, 주택 322채와 농업시설 281동 등의 피해가 잠정적으로 집계됐다.

이번 산불 진화를 위해 산림청 진화헬기는 물론 경북과 강원을 제외한 다른 지방자치단체, 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등 여러 부처 소속 헬기 821대(누계)와 진화인력 7만1527명(연인원)을 투입됐다.

산림분야에 대한 복구는 올해는 2차 피해예방을 위한 응급복구에 중점을 두고, 내년에는 산림생태계 회복 목적의 항구복구로 나누어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산불로 인해 산림 생태계는 물론, 국내 임업과 민간 피해 또한 만만치 않게 발생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산림 생태계는 물론, 국내 임업과 민간 피해 또한 만만치 않게 발생했다.

또한,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임업인들에게는 조기에 경영활동이 회복되도록 융자금 등을 신속히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야간산불 대응을 위해 드론산불진화대 운영(10개 팀 운영) 및 드론 개발·보급과 항공기의 확대 도입을 검토하고, 야간 산불진화가 가능하도록 운영체계(네비게이션 맵 등) 개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불에 강한 숲 조성 등 산불방지 인프라 구축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브리핑에 앞서 “많은 장비와 인력을 지원해 산불진화에 힘을 보태주신 여러 중앙부처와 지자체 그리고 산불진화대와 지역주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산불 등 재난업무의 대응 성패는 지역주민, 유관기관 등의 긴밀한 협업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지난 60여년 간의 특화된 노하우와 ICT 등 과학기술을 접목해 철두철미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