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3887억원 투입 18만600개 일자리 창출

부산시청 /사진=권영길 기자
부산시청 /사진=권영길 기자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코로나19 경제 위기극복과 지역 고용 안정, 디지털·혁신 일자리 도약을 목표로 ‘2022년 부산시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공시했다고 밝혔다.

시의 종합계획은 고용노동부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에 따라 수립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일자리 창출 목표와 대책을 지자체 누리집 등에 공표한다.

올해 '부산시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은 ▷고용시장 안정 ▷디지털 일자리 전환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 ▷분야별 맞춤 일자리 지원 등 4개의 중점 분야를 정하고, 분야별 실천과제 17개를 추진한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의 산업과 고용현황 등을 살펴보면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용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화 및 청년 유출 가속화로 고용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전통 제조업의 하락세가 뚜렷하고, 디지털·저탄소로의 산업변화에 따른 일자리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시는 2조388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8만6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한다.

특히 코로나19로 타격이 큰 고용위기 산업·소상공인·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고용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고, 미래 일자리 전환을 위해 ▷디지털 ▷친환경 ▷지역특화산업분야의 역량강화와 인재양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고용률(15~64세)을 지난해 63.9%에서 올해는 65%로 끌어올리는 것이 부산시의 목표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디지털·친환경 노동시장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코로나19 고용위기를 이겨내고 미래 일자리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