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온실가스 2018년 대비 40% 수준 감축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부산시 기후변화 대응계획(안)’에 지역사회의 다양과 의견을 듣기 위해 4월 1일 오후 시청 26층 회의실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020년 10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 이후 지역사회가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후변화 대응계획(안)을 마련했고, 계획에 대한 ▷전문가 ▷시민대표 ▷구·군 ▷관계기관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번 공청회를 개최한다.
‘기후변화 대응계획’은 ‘2050 탄소중립도시 부산 실현’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력을 제고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본 계획(안)은 ▷전환 ▷산업 ▷수송 ▷건물 ▷폐기물 ▷흡수원 등 6대 부문에 온실가스 감축량 설정과 이를 위한 91개 세부 이행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수준으로 감축하고 시나리오 1안(80% 이상 감축, 탄소크레딧 확보)과 2안(100% 감축)을 설정해, 2050년에는 탄소중립도시로 나아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공청회에서 시는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이행 로드맵을 제시하고, 제기되는 타당한 의견은 관계부서 등과 충분히 협의를 거쳐 세부 시행계획에 반영해 기후변화 대응계획 최종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최종안은 올해 6월 부산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과정을 거친 후 확정될 예정이다.
공청회에서 발표되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부산시 기후변화 대응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4월 5일까지 부산시 기후대기과에 우편으로 보내거나 기후대기과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할 수 있다.
이근희 부산시 녹색환경정책실장은 “2050 탄소중립은 세계적 패러다임으로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공공뿐만 아니라 시민·기업 등 지역사회가 앞장서서 기후변화에 대응해야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며,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은 충분히 검토해, 2050 탄소중립을 선도할 기후변화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