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지역 TP와 컨소시엄 구성··· 6월10일까지 참여기업 모집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원장 김병직)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하 KCL)이 주관기관이 되고 숭실대 산학협력단과 수도권(인천), 호남권(전북), 동남권(울산) 등 3개 지역 테크노파크(TP)가 참여하는 ’제조분야 친환경 관리인프라 구축 지원 사업‘ 컨소시엄을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컨소시엄은 11월 말까지 산업통산자원부(이하 산자부)가 환경규제 이행을 위해 제조기업의 자체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제조분야 친환경 관리인프라 구축 지원’ 등의 2차년도 지원사업을 진행한다. 6월10일까지 해당 지역 내 참여기업의 신청을 받는다.
‘제조분야 친환경 관리인프라’ 구축사업은 산자부가 환경규제 이행을 위한 제조기업의 자체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KCL은 OPEN LAB(기업이 자체적으로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공간) 구축과 소재, 부품에 대한 성능평가를 추진한다. 숭실대를 비롯한 인천, 전북, 울산 등 3개 지역 TP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에 해당하는 사업장(신산업 특화분야 관련 기업 중에서 중소, 중견 소재, 부품, 장비 제조기업) 내 환경안전역량강화 영역을 담당한다.
숭실대 산학협력단과 각 지역 TP에서 실시하는 지원사업은 안전관리 컨설팅(기술지원), 시설 안전성 개선지원(재정지원), 안전관리 모니터링시스템 및 플랫폼 구축(시스템 지원) 등 세 분야다. 더불어 각 권역별 산단대개조 사업 지역의 주력·신산업 분야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사업을 육성·지원하며, 국내 산업발전 및 국가 경쟁력 강화와 산업단지 사업장의 안전한 근로 환경을 제공해 재해를 예방할 목적으로 5개년 장기계획을 수립했다.
지원 방법은 KCL, 3개 지역 TP, 숭실대 홈페이지에서 사업 관련 내용을 참조해 추진단에 안전관리 컨설팅 등을 제출하면 된다. 선정결과는 신청서 접수와 함께 유선 또는 문서로 확인할 수 있다. 선정 기업은 적은 자기부담금으로 강화된 법‧규제(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의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에 대응이 가능하고 불안전한 위험 시설은 정부지원을 받아 개선 할 수 있다.
사업추진단장인 김병직 숭실대 교수는 “이번 사업은 규제·처벌 중심의 산업안전·환경분야 정책에 대한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의 대응능력과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이 처한 시설의 불안전성에 대해 개선조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며 “산학협력의 새로운 발전 모델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