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복지개발원, 11월 말까지 '설문·심층면접조사' 등 실시

(재)부산복지개발원이 올해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연구를 오는 11월 말까지 실시한다. 
(재)부산복지개발원이 올해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연구를 오는 11월 말까지 실시한다.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재)부산복지개발원은 올해 부산시로부터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연구를 위탁받아 수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연구는 오는 11월 말까지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 등으로 실시한다.

국내 은둔형 외톨이의 규모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지난 202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년 사회경제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V-기초분석보고서’에 따르면 18~34세 국내 은둔형 외톨이 청년 규모를 약 37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부산시에 이 기준을 적용하면, 2020년 기준 부산시에 거주하는 18~34세 청년 66만8068명 가운데 약 2만명가량이 은둔형 외톨이로 추정된다.

18세 미만 청소년을 포함하고 중장년 1인가구 및 홀로 사는 노인가구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점 등을 감안하면, 부산시 거주 은둔형 외톨이의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지난 2011년 5월 23일 일본 후생노동성 ‘빈곤 격차, 저소득 대책·격차, 저소득자 대책’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15~34세의 청년 무업자가 만 25세부터 65세까지 납세하지 않고 사회보장을 받을 경우 납세자에 비해 1인당 약 1억5000만엔(원화 15억원가량)의 사회보장 비용이 추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계되고 있다.

부산시 18~34세 은둔형 외톨이 추정치에 이 기준을 대입시켜 보면, 약 30조원가량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더 이상 ‘은둔형 외톨이’ 문제에 있어서 안전지대가 아니며, 정확한 통계자료 및 연구조사를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학계 및 현장전문가 대상의 초점집단면접조사(Focus Group Interview, FGI), 타 시도 벤치마킹 등으로 이뤄진다.

설문조사는 6월 20일부터 8월 30일간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및 가족 등 200명 내외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스마트폰·컴퓨터 등 온라인으로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설문조사 폼을 통하거나 홍보 포스터 QR코드로 접속하면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

심층면접조사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의 연령대를 고려해 당사자 및 가족을 선정해서 진행한다. 학계 및 현장전문가 초첨집단면접조사는 현장실무자 및 회복지원 관련 기관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광주·서울 등 타 시도의 벤치마킹도 수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재)부산복지개발원으로 문의하면 된다.

박영규 (재)부산복지개발원장은 “이번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를 통해 부산시 내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은둔형 외톨이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산시가 적절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수요에 기반한 부산지역 은둔형 외톨이 지원방안을 마련해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과 전체 시민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추진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