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다변화’ 절실, 바이오연료는 탄소중립 ‘브릿지’ 가능
부처 간 제도적 협업 교착 상태··· 대중적 언어로 재평가돼야

[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바이오연료 역할론이 부상하고 있다. 탈탄소로의 연착륙을 도울 에너지원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옥수수, 폐식용유, 음식물쓰레기, 분뇨 등을 이용한 바이오연료를 통해 탄소중립 전환 과정의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연료는 ‘생물 기원의 모든 유기체 및 유기물’을 뜻하는 바이오매스(Biomass)가 원료다. 바이오매스를 연소 또는 발효시키거나 액화, 가스화, 고형연료화시키면 에너지가 된다.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로 보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연료로 평가받는다.
IEA(국제에너지기구)는 액화 바이오연료(Liquid biofuels), 바이오가스(Biogas)의 글로벌 사용 비중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화석연료가 빠져나간 자리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기 위한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는 시그널이다. 에너지믹스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에 초점이 맞춰지는 이유다.
그러나 우리의 대처가 적절치 못하다는 평가다. 21일 (사)한국바이오연료포럼(이하 포럼)이 주최한 심포지엄에서의 목소리도 같았다.
유영숙 한국바이오연료포럼 회장(전 환경부 장관)은 “바이오연료가 정부의 에너지믹스 정책에 대한 방향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관심을 촉구했다. 서동진 포럼 조직위원장은 “바이오연료를 활용한 에너지 다변화가 중요함에도 상대적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이 열린 정동1928아트센터에는 패널 등 200여명이 모였다.
학계는 수송, 산업 등에 고루 적용이 가능한 바이오연료가 탄소중립 정책에 충분히 기여할 거라고 입을 모았다. 상병인 한양대학교 교수는 “바이오연료는 탄소중립 조기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 가능한 에너지원”이라고 말했다.
바이오연료, 에너지 다변화 ‘열쇠’
그는 전기차 전환을 두고 “전기차로 내연기관차를 다 바꾸는 게 현실적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운송 수단의 전환이 ‘소프트 랜딩’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응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인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는 “바이오연료가 선박연료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박사는 바이오매스 자원 및 기술 확보, 바이오연료 검증의 고도화를 위한 엔진 테스트,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을 숙제로 제시했다.

유종익 한국기후변화연구원 박사는 SAF(지속가능 항공유)에 대한 국제적 트렌드를 설명하면서 항공업계를 중심으로 바이오연료를 적용한 SAF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당장 SAF의 가격은 비쌀 수밖에 없지 않겠냐”며 “환경을 위해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책임을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우리는 없다”고 말했다. 유 박사는 “비용 부담에 대해 정부, 정유사, 항공사, 소비자 등이 모여 얘기를 나눠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재곤 한국석유관리원 박사는 “바이오연료는 석유경제에서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브릿지(bridge)”라며 “도로, 해운, 항공 등 전 분야로의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힘을 실었다.
같은 의견을 낸 김학수 미국곡물협회(U.S. GRAINS COUNCIL) 한국사무소 대표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 바이오연료라는 옵션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서우현 JS케미칼 상무는 “바이오연료 산업의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책임 분담 논의 단절
한국가스공사 연구진은 “세계적으로 바이오메탄올을 연료로 하는 선박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면서 “바이오메탄올 선박의 생산과 활용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제도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바이오매스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마련에 포커스를 맞춰달라”며 “산림자원을 수송할 수 있는 임도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이날 임미정 산업통상자원부 석유산업과 사무관은 “정부에선 국민들이 별로 불편함 없이 바이오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같은 부처 내에서도 여러 과들이 있기 때문에 협업을 통해 정책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심은 부처 간 협업의 가능성에 쏠렸다. 김익수 환경일보 편집대표는 “성격이 다른 부처들이 모이기 힘든 게 현실”이라며 “전문가와 국민들의 관심을 통해 부처 간 논의의 장을 불러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제용 서울대학교 교수(전 한국환경연구원장)는 “부처 간 협업이 정말 어렵다. 어느 한쪽이 커지면 다른 쪽은 위축되는 당연한 이해관계 조정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과소평가된 바이오연료를 국민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