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가 15개국 고위관료로 구성된 국제그룹을 통해 남극해에서 포경을 늘리려는 일본정부에 대해 세계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재일호주대사가 인솔한 대표단은 도쿄에서 일본 외무부와 회견을 가졌다. 이른바 외교상 전환책(demarche)인 본 외교전략에 함께한 국가는 호주를 비롯하여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 브라질, 핀랜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멕시코, 뉴질랜드, 포르투갈, 스웨덴, 네덜란드, 영국 등이다. 본 국제그룹은 일본정부에 대해 참여국 모두가 내년부터 남극해에서 포경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겠다는 일본 계획에 극도로 실망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이와 비슷한 대표단이 내주 일본 수산청을 다시 한 번 방문할 예정이다.
호주와 국제포경위원회(IWC) 회원국은 일본이 계획하고 있는 과학적 포경이 불공정하고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본이 고래에 대한 치명적인 연구를 중지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호주정부는 일본이 밍크고래 포획량을 두 배로 늘리고 혹등고래와 긴수염고래를 잡겠다는 일본 측 제안에 우려를 포명했다. 호주정부의 입장은 고래 어족과 식습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고래를 죽이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혹등고래와 긴수염고래는 세계보존연합(IUCN) 멸종위기종리스트(List of Threatened Species)에서 ‘멸종가능종(vulnerable)’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고래들은 1979년 포경을 중지한 호주를 포함하여 세계 각국의 지나친 포경으로 과거 거의 멸종상태에 있었으며, 최근에서야 유지가능한 개체수가 충족되기 시작했다.
일본 포경활동은 남대양 고래보호구역(Southern Ocean Whale Sanctuary)과 고래를 보존보호하려는 국제적 노력을 비롯, 상업적 포경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약화시킬 수 있다. 국제포경위원회는 일본이 치명적인 과학적 포경을 제한하도록 촉구하는 결의안을 반복해서 채택해 왔다.
이안 캠벨 호주 환경유적부장관은 유럽 및 태평양 외교순방을 통해 세계 각국이 오는 6월 하순 울산에서 열리는 국제포경위원회 회의에서 상업적 포경을 막는 데 호주와 뜻을 같이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자료 2005-06-02 호주 환경유적부 및 외무부 / 정리 김태형 기자>
- 기자명 김태형
- 입력 2005.06.16 00:00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