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사업 착공, 2028년 준공...구미·합천·청도 등 관로 건설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부산 맑은 물 확보의 운명이 걸린 2조원 규모의 ‘낙동강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해 정부사업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6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 제2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개최해, 이번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을 조사하고 사업의 타당성이 확보(AHP 0.556)된 것으로 심의·의결했다.
‘사업의 타당성 심의·의결’은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의사결정방법으로 종합평가(AHP) 결과가 0.5 이상일 경우 사업 시행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된다.
‘낙동강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은 낙동강유역 취수원의 다변화를 통해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낙동강유역 700만 주민의 먹는 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며,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총사업비 2조4959억원(예타 사업계획안 기준)을 투입해 오는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대구·경북에 일평균 30만톤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 45.2km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부산과 동부경남에 일평균 90만톤을 공급하기 위한 취수시설 및 관로 102.2km ▷청도 운문댐에서 울산에 반구대암각화 보호를 위한 물량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 43.8km 등을 건설한다는 세 가지이다.
‘반구대암각화’는 원시 고래잡이의 모습이 그려진 최초의 기록 중 하나로 울산 사연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난 1995년 국보문화재 제285호로 지정돼 관리 중이다.
환경부는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올해 하반기에 즉시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고, 오는 2024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절차를 차질 없이 이행해 2025년에 사업을 착공할 계획이다.
이근희 부산시 녹색환경정책실장은 “신속하게 영향지역과 지원방안 마련 등 지역주민들간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협약이 체결이 이뤄져, 부산시민의 30년 숙원사업이 해결되기를 바란다”며,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관계자들의 많은 노고가 있었던 만큼 사업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전력을 기울일 것이며, 좋은 성과가 나오길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