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해양환경공단 등 관계기관과 ‘해양쓰레기 저감·관리’ 업무협약

부산 연안 해양쓰레기 저감 및 관리강화 업무협약 체결식 /사진제공=부산시
부산 연안 해양쓰레기 저감 및 관리강화 업무협약 체결식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해양환경공단(KOEM), 부산항만공사(BPA),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한국해양진흥공사(KOBC) 등과 함께 ‘쓰레기 없는 깨끗한 부산 바다’ 조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5월 ‘해양쓰레기 효율적 관리를 위한 관계기관 협력회의’를 개최해 해역별 쓰레기처리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고, 그 후속조치로 지난 7월 4일 시청 회의실에서 해양관련 관계기관 간 ‘부산 연안 해양쓰레기 저감 및 관리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부산시는 해양쓰레기 저감 실무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관리의 시범사업을 주도하며, 해양환경공단은 부산지역 해양쓰레기 발생·수거 정보공유와 처리지원, 해양폐기물 재활용 시범사업 협업, 반려해변 프로그램 및 해양환경교육을 지원한다.

부산항만공사는 북항 내 해양쓰레기를 상시 수거하고, 항만 내 폐플라스틱 수거·처리체계를 개선하는 한편 연안정화 캠페인을 주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쓰레기 저감 관련 실용적 정책연구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해양환경교육 관련 인적자원 및 정보를 교류하기로 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면서 해양환경보호 캠페인에도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특히 부산은 낙동강하구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만·수산시설이 존재하고 해양레저활동도 활발하게 이뤄져 해양쓰레기 발생과 유입이 많지만, 국가무역항·국가 어항·연안 어항·연안육역 등에 대한 관리청이 서로 다르고 관할 면적도 넓어 해양쓰레기 수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부산시를 포함한 업무협약 기관은 해양쓰레기 저감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부산 연안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협력과제를 발굴해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아울러 올해 여름에는 북항과 남항 일대를 중심으로 드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감시 시범사업에 착수해, 체계적인 해양쓰레기 관리·대응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부산시를 포함한 업무협약 기관은 해양쓰레기 저감 실무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를 포함한 업무협약 기관은 해양쓰레기 저감 실무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사진제공=부산시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구 전체를 위협하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부산이 해양관광도시로서 위상을 강화하고, 해상 스마트시티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쓰레기 해결이 절실하다”며,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깨끗한 부산 바다가 되도록 함께 관리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시는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해양쓰레기 시민캠페인을 함께 추진하고, 북항과 남항 일대를 중심으로 ‘해양쓰레기 집중 수거기간’을 운영해서 해양쓰레기 수거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