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원장 김영규)은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서해안, 제주도, 남해안 일원에 수산과학원 소속 탐구3호 및 북제주군 어업지도선에 해파리조사단이 승선하여 해파리 종류 및 밀도를 조사한 결과 대형종인 노무라입깃해파리(Nemopilema nomurai)가 상당수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2003년 우리나라 전 해역에 걸쳐 높은 밀도로 분포하여 수산업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으며 2004년의 소강상태 이후 올해 다시 높은 밀도로 출현하여 수산어업인의 피해가 예상된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현재 서해 군산 일부해역, 남해 여수 일부해역 및 제주도 인근 해역, 한림-병풍도 해역 등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직경이 15~60cm, 무게 0.3~7.5kg 정도의 유체이나 이들이 완전 성숙하는 9~10월에는 직경 1m 이상, 무게 200kg에 달하는 대형종이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비교적 독성이 약한 종으로 촉수와 접촉한 경우 바늘에 찔리는 듯한 느낌을 주나, 민물로 깨끗이 씻고 식초나 알콜로 다시 씻어낸 후 따뜻한 물이나 모래로 마사지하면 통증은 사라진다.

현재 노무라입깃해파리의 밀도는 100㎡당 10여 개체이나, 우리나라 해역이 지속적인 난류의 영향을 받음으로 향후 밀도 및 개체크기가 증가하여 수산업에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며, 해수욕장에 출몰을 대비하여 해수욕장 관리자 및 해수욕객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수산과학원은 기상자료분석, 인공위성사진 수온 판독, 한국연근해 및 주변 주요 해류 동향, 해파리 출몰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해파리연구팀을 가동하고 있다.

<조수경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