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포유류보호법, 수사물이력제 개편 등 논의
[환경일보] 한국환경회의는 12월 9일(금) 오후 2시 센터포인트 광화문 회의실에서 제7차 환경포럼 ‘우리나라 해양 환경정책 진단과 NGO 역할 모색’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환경포럼은 한국민간단체진흥회에서 후원한다.
전국의 47개 주요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한국환경회의는 2005년 결성된 이후 주요 환경 현안과 정책에 대한 연대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주요 환경현안에 대한 정책 포럼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환경포럼에서는 해양포유류보호법 도입, 수산물이력제 전면 개편 및 의무화 확대, 해양보호구역 확대, 해양쓰레기 대책, 해양수산 관련 국제협약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해양 환경정책을 두고 민간단체의 다양한 정책 활동들이 소개될 계획이다.
그동안 육상 영역에 비해 해양환경정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부족했다는 인식하에 이번 포럼에서는 국내·외 해양환경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분야별 해양 이슈 공유를 통해 해양환경운동 이해와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최중기 인하대학교 명예교수가 포럼 좌장을 맡고, 종합발제로 김은희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이 ‘해양환경 국제정책동향과 국내 과제’를 발표한다.
그리고, 1부 이슈발제에서는 ▷해양포유류보호법 도입(조약골 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수산물이력제 전면 개편 및 의무화 확대(박두현 오션아웃컴즈 매니저) ▷연안 및 공해 해양보호구역 지정 확대(이용기 환경운동연합 활동가)주제로 정책대응 활동 및 과제를 공유한다.
이어지는 2부 이슈발제에서는 ▷해양쓰레기 대책(장정구 인천녹색연합 부설 생태역사공간연구소 공동대표) ▷IUU 어업근절과 거버넌스 투명성 강화를 위한 해양감시(김태상 글로벌피싱워치 컨설턴트) ▷해양수산 관련 국제협약(ILO 188/CTA) 비준(장수영 환경정의재단(EJF) 선임 캠페이너) ▷정부 규제혁신, 무인도서 이용규제 완화(정인철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사무국장)등의 내용이 공유되고, 민간차원의 종합적인 대응방향도 논의된다.
한국환경회의 제7차 환경포럼은 온라인 Zoom 링크와 자료집 전송을 위해 사전 참가신청을 받고 있으며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