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신규 공모 선정

[부산=환경일보] 권영길 기자 = 부산시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3년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총 96억원을 확보하고 시비 등을 포함한 총 120억 원을 투입해, 2215개의 ‘부산 맞춤형' 일자리창출에 본격 나선다.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지자체 주도로 지역 및 산업 여건에 맞는 일자리사업을 발굴해 추진하는 일자리 정책사업이다.
시는 올해 신규로 추진되는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을 포함해,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지역혁신 프로젝트’ 등 총 3개 사업에 최종 선정해서 국·시비 총합 120억원 규모의 종합적 일자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에 예산 22억5000만원으로 38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시는 올해 신규 공모사업인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8억원을 확보했고, 구인난 애로를 겪는 산업에 대한 집중지원에 나선다.
이 사업은 지자체별 고용상황 및 인력수요에 따라 중앙정부 일자리사업과 연계해 구인난 집중 산업군을 선정하고 우대 지원하는 사업이며, 시는 올해 조선·기자재 및 관광·마이스 2개 산업군에 집중된 구인난 해소를 위해 취업자 대상 '내일채움공제사업'과 기업의 고용창출 촉진을 위한 '일자리도약장려금사업' 등을 각각 추진한다.
두 번째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에 예산 69억5000만원으로 1171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부산제조업 중심지인 서부산권의 기계부품산업 고용안정과 활성화를 위해, 국비 55억6000만원을 확보해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난 2021년 선정돼 올해 3년 차를 맞이하며, 서부산권 고용안정을 위한 취업연계서비스, 기계부품산업의 고도화와 신성장 사업화를 위한 기업 지원 및 맞춤형 교육훈련 등 총 9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돼 진행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지역혁신 프로젝트' 사업에 예산 28억5000만원으로 554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부산지역의 주력산업 성장 고도화 및 첨단화와 연계한 일자리창출 지원을 위해, 국비 22억8000만원을 확보해서 ‘지역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난 2016년 최초 선정 이후 올해 신규 4개년도 사업 1년 차를 다시 맞이하게 되며 올해 총 8개 세부사업으로 이뤄져, 신발·해양·수산식품산업 등 부산하면 떠오르는 부산의 주력 산업의 성장 트렌드 및 육성방향에 맞춘 일자리를 창출하고 부산 기술창업기업 성장 고도화와 동부산권 정보통신(IT)·관광서비스 산업군 대상 취업서비스를 지원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경기둔화와 고용불안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주력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구직자의 신속한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내실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특히 구인난에 어려움을 겪는 업종을 대상으로 인력을 수급하고 산업별 특성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를 구직자와 연결해, 우리 부산의 일자리 불일치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시는 2월 28일 고용노동부와의 약정 체결을 시작으로 3월부터 본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며, 서부산권 기계부품산업의 고용안정과 지역산업 신성장 연계 일자리창출 지원 그리고 부산 주력산업인 조선기자재·관광마이스 산업군 대상 인력수급 원활화 등 부산 일자리시장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종합적으로 설정해 사업 추진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