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환경일보] 강태희 기자 =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연구회는 22일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이후 의회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경기도의회 조직 인사제도 개편 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최종보고회에는 연구회 김정영 회장과 조성환, 국중범 회원, 경기도의회 사무처 인사담당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용역 책임연구원인 (사)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김선희 교수의 발표로 진행됐다.
최종보고회 발표는 지방의회 조직과 인사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경기도의회 사무처 조직과 인사제도 현황 분석, 국내외 선진 사례 분석, FGI와 설문조사 결과 분석, 경기도의회 사무처 조직과 인사제도 개편에 대한 방안 등 5가지 과제에 대한 정책 제안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김정영 회장은 인사말에서 “이번 정책연구는 국회사무처와 타 지방의회 등의 다양한 선진 사례를 연구하는 한편, 설문조사를 통해 의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도 함께 담긴 만큼 경기도의회 조직과 인사제도 개편에 잘 활용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책임연구원 김선희 교수는 “중간보고 이후 심층적인 사무처 직원 등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분석 등의 방법으로 경기도형 경기도의회 조직과 인사제도 개편 방안을 모색하고 인사권 독립 이후 소속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와 지방자치의 독립성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최종 보고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정책보고서의 더 나은 발전 방안이 논의됐다. 조성환 의원는 “지방의회의 조직과 인사제도 개편의 핵심은 법률개정과 정부와 협의가 필수적이므로 이와 관련한 법률개정을 위해서는 국회, 광역 기초의회를 구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여전히 지방의회에 대한 문화적인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의 의견이 중앙에 전달되지 못하므로 사회적 환류를 고취시킬 수 있는 정책연구가 더 활발히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중범 의원는 “착수·중간보고회에서 나왔던 보완 사항에 대해 최종보고회에 충실히 반영되어 고마움”을 전하며 “광역의원에 대한 후원회 제도와 의인 1인1정책지원 보좌인력에 대한 내용이 최종보고회에도 다루어졌듯이 정책연구의 최종 보고서의 자료가 중앙정부에도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방법과 더불어 언론홍보도 잘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정영 회장은 “이번 정책연구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으로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이후에 새롭게 도입되는 정책지원관제도 등 경기도형 의회 조직과 인사제도 개편에 대한 연구인 만큼 관련법의 제·개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 정부와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시도의회운영위원장협의회에서 노력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어 “참석해 주신 의회운영연구회 회원님들과 의회 사무처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다”며 “최종보고서는 이날 제시된 1인1정책지원관제도, 지방의회의원 정치후원금, 의원 의정지원기구 강화 방안 등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3월 말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