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 10% 증가 시마다 체감온도 1℃가량 증가

[환경일보] 같은 기온에도 습도나 바람에 따라 느껴지는 더위는 다르다. 그동안 기온을 기준으로 발령됐던 폭염특보가 앞으로는 단순 기온에서 습도까지 고려한 ‘체감온도’ 기준으로 발령된다.

특히 평년에 비해 올여름 기온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무더운 7~8월 폭염특보 발령이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5월23일 발표) 서울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최근 5년간(2018~2022년) 폭염일수 및 열대야 일수도 증가하는 등 폭염 발생 빈도와 강도가 점차 커지고 있어 시민들의 각별한 유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시는 올여름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폭염 대응체계를 강화한다. 우선 무더위쉼터 4200개소를 지정해 운영하고, 이 중 노숙인 무더위쉼터 10개소는 24시간 상시 운영한다.

무더위쉼터에서 쉬고있는 어르신들./사진제공=관악구
무더위쉼터에서 쉬고있는 어르신들./사진제공=관악구

쪽방촌에 에어컨 설치를 지원하고,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에너지 취약계층에 냉방비 지원도 검토 중에 있다. 또,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3000여명의 돌봄인력이 활동한다.

또한 야외근로자 보호를 위해 일 2회 이상 온열질환 자가진단표 등을 작성하게 하고, 폭염 영향 예보제를 실시하는 등 야외노동자 보호에도 힘쓴다.

올해 이른 무더위로 인해 횡단보도 그늘막 3176개소와 쿨링포그, 그늘목 등이 설치를 완료했으며, 도로 노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쿨링로드도 가동되고 있다. 물안개 분사장치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7월까지 폭염저감시설을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쿨링포그 /사진제공=서울시
쿨링포그 /사진제공=서울시

시는 폭염대책 기간(5.20~9.30) 동안 상황관리 T/F팀 운영 및 상시 대비체계를 유지한다. 폭염특보에 따른 주의‧경계 단계에는 생활지원반과 에너지복구반을 추가해 종합지원상황실을 운영하고 취약계층 보호 및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대책을 강화, 심각 단계에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한다.

시는 이와 같은 강화된 폭염대책을 마련 ▷폭염대응체계 강화 ▷취약계층 보호 ▷취약시설 안전관리 ▷폭염저감대책 등 2023 여름철 폭염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본격적인 무더위가 오기 전인 5월20일부터 폭염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며 상시 대비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