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화 단계별 이행안 마련, 특화지역 지정 선점 등 5개 중점 과제 구성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회’에 참석했다. /사진제공=울산시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회’에 참석했다. /사진제공=울산시

[울산=환경일보] 오부묵 기자 = 울산시가 내년 6월로 예정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본격 나선다.

울산시는 17일 롯데호텔울산에서 김두겸 울산시장, 김기환 시의회 의장, 권명호 국회의원,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 이윤철 울산상의회장,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을 비롯한 공공기관 및 지역 산업계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 울산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지정 추진단 위촉장 수여, 분산에너지 관련 주제발표 등으로 진행됐다.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은 활성화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수립, 특화지역 지정 선점, 지원센터 건립 추진, 분산에너지 데이터센터 설립 제안, 수도권 데이터센터 기업유치 추진 등 5개 중점 과제로 구성됐다.

울산시는 추진전략 5개 중점 과제에 대해 조만간 기획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이를 통해 세부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울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추진단’은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분산에너지 분야 전문가 등 24인 으로 구성된다. 추진단은 앞으로 1년간 울산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수립 등 기획연구용역에 참여하고, 특화지역 지정 선점을 위한 첨병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해당 용역은 울산테크노파크 에너지기술지원단에서 주관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기업체에서는 한국동서발전 임도형 미래기술융합원장이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HD현대일렉트릭 강화구 에너지신산업수석이 ‘에너지플랫폼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은 신재생에너지인 수소, 이차전지, 부유식해상풍력 등을 기반으로 분산에너지를 선도해 나갈 준비된 지역”이라며, “특화지역 지정을 출발점으로 그 선상에서 기업들의 발전소 건설 투자가 용이해져 분산에너지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법에는 지역별 전기요금제를 비롯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제도가 담겨져 있다.

특화지역은 발전사업자가 한전을 거치지 않고 기업체에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특례가 적용돼 전력이 대량으로 필요한 이차전지,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신산업 기업 유치가 기대되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