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24배 급증, 쓰레기 수거량은 1.6배 증가에 그쳐

신정훈 의원
신정훈 의원

[환경일보] 플라스틱 쓰레기가 우리 해안을 뒤덮고 있으며 그 수와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은 84만895개(92%)로 2014년 3만4030개(69%)에 비해 24.7배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부는 국내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매년 약 14.5만톤으로 ▷육상기인은 65%(9.4만톤, 초목류 포함) ▷해상기인은 35%(5만톤)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12만6035톤으로 2014년 7만6849톤 대비 1.6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사진제공=해양수산부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지난해 총수거량 중 지자체에서 11만1461톤(88.4%)을 수거했고 해수부 산하기관에서 1만4574톤(11.6%)을 수거했다.

지자체별로 ▷전남 3만4671톤 ▷제주 1만7017톤 ▷경북 1만2895톤 ▷충남 1만2823톤 순으로 많이 수거했다.

신정훈 의원은 “해양쓰레기는 우리나라, 현재 세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바다를 물려주기 위해 국제사회의 공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신 의원은 “해양쓰레기의 상당수가 육상에서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