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자원순환 ‘TNFD’ 진행‧‧‧ 기업, 자연 관련 위험 노출
“공공부문 녹색금융, 정치적 이유로 기후 대응에 충분하지 못해”

지난 24일 몬드라안 서울 이태원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3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에서 김종대 인하대 교수는 “자연금융은 생태계 및 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민간 부문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 /사진=김인성 기자

[몬드리안 호텔=환경일보] 김인성 기자 = “기후변화 대응은 순환경제, 생물다양성 등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24일 인하대 녹색금융대학원이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 그랜드볼룸에서 ‘기후와 자연을 위한 녹색금융’을 주제로 연 ‘2023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에서 김종대 인하대 녹색금융학원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세계의 이슈로 ‘생물다양성’이 부각되고 있다. 2022년 12월 COP15(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많은 국가들의 합의 후 2023년 민간투자 시장의 관심이 높아졌으며, UN은 30X30 정책으로 2030년까지 서식지의 30%를 보전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2023년 영국 정부는 생물다양성 크레딧 시장 도입 준비를 위해 자발적 배출권거래시장과 유사한 새로운 시장에 관한 정책보고서를 공개했다. 세부적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업과 자연 회복을 위한 대형 민간투자의 확보다.

금융기관들은 40조 달러 이상의 경제적 가치가 자연에 의존함에 있어서, 부상하는 자연 관련 위험에 대비하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ECB(유럽중앙은행)는 유로지역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은행대출의 75%가 최소한 한 종류의 자연 관련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전 세계는 비즈니스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생태계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재무정보 공시 강화를 위해 생물다양성과 자원순환에 대한 TNFD(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를 진행 중에 있다. /사진=김인성 기자

아울러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는 비즈니스에 점차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연 위험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재무적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살충제 사용 금지법은 기업의 운영 비용 상승을 가져올 수 있으며, 반면 생물다양성 회복과 홍수 위험 감소는 보험 및 보증 인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재무정보 공시 강화를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TCFD(기후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태스크포스)와 마찬가지로 생물다양성과 자원순환에 대한 TNFD(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가 진행 중이다.

ISSB(국제지속가능공시기준위원회)는 SI(지속가능성 공시 일반 기준), S2(기후변화공시기준)에 이어 의제로 생물다양성을 고려하고 있다. 또 TCFD 프레임워크와 마찬가지로 TNFD에서는 지배구조,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공시 기준을 제시했다.

“기후변화, 순환경제와 생물다양성의 이슈”

본 심포지엄에서 남두우 인하대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소장은 개회사를 통해 “기후변화의 이슈를 그냥 기후위기의 문제로 생각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는 순환경제와 생물다양성의 이슈”라면서 “금융과 더불어 자발적인 참여 유인과 어떤 것이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전했다.

해당 심포지엄에서 남두우 인하대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소장은 “금융과 더불어 자발적인 참여 유인과 어떤 것이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사진=김인성 기자

“환경 위기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의 위기다”고 언급한 국립생태원 조도순 원장은 “지구의 자연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서비스를 위해 기후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존 및 복원을 함께 추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기후와 자연을 위한 통합적인 지속가능금융’을 발제한 김종대 인하대 녹색금융대학원 교수는 “GSS(지속가능연계채권)은 사회적 채권에 편중돼 민간 기업의 참여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2021년 기준 글로벌 시장의 50.6%는 녹색 채권 중심이지만, 국내 시장의 70.7%는 사회적 채권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국내 ESG 채권시장은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1년 발행금액은 81.5조원이며 발행건수 632건에 달한다. 이는 2019년 대비 2021년 발행금액 및 발행건수가 4배 증가한 셈이다.

이어 김 교수는 “자연금융은 생태계 및 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민간 부문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며 그렇지만 “공공부문의 녹색금융은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충분하지 못하다”고 짚었다.

전 세계 녹색금융상품, ‘GSSS 발행’이 큰 비중 차지

전 세계적으로 녹색금융상품(ESS) 중 녹색채권이 가장 활발하게 발행돼 왔으나, 최근 사회적 채권, 지속가능성 채권, 지속가능연계채권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해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보내거나 평판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등 전략적 목표의 GSSS(녹색·사회·지속가능·지속연계) 발행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김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은 순환경제와 생물다양성 등의 다른 환경 이슈와 밀접하게 연계돼 있어 그와 연계된 금융상품도 같이 발전하고 있다”고 전하며 “장기적 책임투자자들의 적극적 수요로 선진국에서 녹색채권에 대한 프리미엄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Ana Maria Hernandez Salgar 전 IPBES(생물다양성과학기구) 의장은 쿤밍-몬트리올 생물다양성 협약의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한 ‘TNFD’는 앞으로 나아가는 긍정적인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사진=김인성 기자

Ana Maria Hernandez Salgar 전 IPBES(생물다양성과학기구) 의장은 “환경 협정과 무역 협정을 하나로 묶고, 경제 전 부문에 생물다양성을 통합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쿤밍-몬트리올 생물다양성 협약의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한 ‘TNFD’는 앞으로 나아가는 긍정적인 방법이라고 전했다.

UNEP(유엔 환경 계획) 기후 재정 부서 책임자인 Ivo Mulder은 “지속가능한 산림, 지속 가능한 농업, 보존, 복원, 도시 녹화 등에 대한 투자 규모를 3배로 확대해야 하며, 자연/기후에 부정적인 흐름은 크게 줄여야 한다”며 기후, 생물다양성, 공해에 관한 국제조약은 국내법과 규정으로 변환돼야 한다고 봤다.

전문가들은 경제는 자연 속에 내제돼 있다는 사실에 한목소리를 냈다. 생태계서비스의 연간 가치는 150조 달러 이상으로 세계 GDP의 절반 이상인 44조 달러의 비즈니스 가치가 생태계서비스에 의존 중이다. 생물다양성 손실 및 생태계 붕괴는 향후 10년간 가장 빠르게 악화되는 글로벌 리스크로 간주되고 있다.

단일 지표 없고, 기업별 관련 데이터 매우 ‘부족’

그러나 박은진 국립생태원 실장은 ‘자연과 기후에 있어 데이터와 지표가 다른 방식’이라는 점에 방점을 뒀다. 박 실장은 우선적으로 “현재 단일 지표 혹은 측정법이 없고 자연은 더 복잡하다”며, “자연 영향은 위치에 따라 다른 것뿐만 아니라, 기업별 관련 데이터가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자연 위기 대응 노력이 충분한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됐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기후변화 분야 투자는 5800억 달러로 자연 분야는 13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즉, 자연에 대한 투자는 기후변화에 대한 투자의 ‘23%’에 불과하다.

오일영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한국 고위 협력관은 TNFD 준비 초기에 사업장 및 벨류 체인 위치별 자연 현황, 영향 요인, 위기 요인 분석이 중요하다며, 기후변화에 보다 과학적 분석 체계, 정보, 전문가 등이 부족한 제약을 감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업의 입장에서 포스코의 위은실 기업시민실 ESG그룹 리더는 “생물다양성 영향평가, 생물다양성 목표 수립 등에 있어 생물다양성과 연계된 다양한 전문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김인성 기자

금융과 산업계에서도 ‘TNFD’ 활용 및 대책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모색에 들어갔다.

우리금융지주 양해준 수석은 “TNFD 권고안은 기업의 위험과 기회를 형성하는 자연 의존성, 그리고 자연에 미치는 영향이 갖는 재정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며 다중 영향을 주고받는 자연에서 공간 정보는 필수요소로 데이터 편차는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 획득의 소스 선택도 신중히 고려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도 및 생물다양성 보고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올해 발표된 TNFD 프레임워크에 대한 보고 사례가 2024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생물다양성 평가 및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서는 사업장 지역의 영향 평가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생태계서비스‧환경경영‧생물다양성 연계 관리해야

포스코의 위은실 기업시민실 ESG그룹 리더는 “생태계 서비스, 환경경영, 생물다양성 활동 등을 연계해 위험성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며 “생물다양성 영향평가, 생물다양성 목표 수립 등에 있어 생물다양성과 연계된 다양한 전문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날 플로어에 있던 환경일보 김익수 편집대표는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들은 너무 힘들 상황이라 대기업 눈치만 볼 수밖에 없다”며 “친환경 정책도 일관성을 제대로 가지고 있지 않고, 부처가 키워드 하나로 관리가 안 된다. 작더라도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할 부분이 없는지”에 대해서 전문가들에게 질문을 던졌다.

이에 오일영 협력관은 “TNFD 차원에서 판단할 때 기후변화, 자연자원 활용, 오염물질 배출 등 자연에 미치는 5가지 카테고리가 있는데, 수질‧오염물질‧폐기물 등의 영역을 이미 환경부에서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인 콘텐츠를 환경부가 하는 것이 맞다”고 답했다.

더불어 “당장은 이해가 부족한 자연의 이해를 높이는 게 우선인 것 같다”며 “기업을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어느 지역이 민감한 지역인지 데이터를 구축하고, 해외 공장에 대해서도 그 주변의 자연과 오염을 배출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는 게 내년과 후년까지 이어지는 필요한 절차”라고 부연했다.

‘2023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인성 기자
‘2023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인성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