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 수산물 안전관리 체계 강화

감마핵종분석장비로 수산물 방사능 검사 /사진제공=부산시
감마핵종분석장비로 수산물 방사능 검사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수산물 생산·공급 환경 조성을 위해 수산물 안전성 조사 확대,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올해 ‘수산물 안전성조사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추진에 따라 수산물 중 소비가 많거나 부적합 이력이 있는 품종 검사를 강화하고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을 위한 방사능 안전관리 체계 강화에 중점을 뒀다.

지난해 350건에서 450건으로 방사능 검사 계획 물량을 확대, 방사능 감마핵종분석기를 2대에서 3대로 확충해 신속한 검사가 가능해졌다.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관계기관 검사원이 위·공판장과 양식어장에서 무작위로 수산물을 수거 뒤 감마핵종분석장비로 3시간 동안 정밀히 검사하는 방식이다. 국내 기준은 1kg당 방사능이 100Bq 이하로 검출돼야 한다.

또 시민들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누리집에서 공개하는 방사능 검사 결과 공개 주기를 월 2회에서 주 1회로 조정한다. 그간 연구소는 1Bq 이상 미량의 방사능이 나오면 식약처에 추가 검사를 의뢰하는 등 꼼꼼한 방사능 검사·감시체계를 구축·운영하고 검사 결과를 투명히 공개했다.

잔류허용기준이 없던 동물용의약품은 불검출 기준을 0.01㎎/㎏ 적용해 수산물을 검사한다. 우선 단계적으로 양식 어류부터 도입, 이는 올 1월부터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가 본격 시행됨에 따른 것이다.

한편 연구소는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을 위해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한 결과 생산과 거래 이전단계의 수산물 모두 검사 기준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획·양식수산물 81개 품종 총 467건을 대상으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67건의 검사물량은 계획물량 350건 대비 133%를 초과한 수치다.

방사능 검사뿐 아니라 양식수산물 7개 품종 총 133건, 해면·내수면 어획물 96품종 437건 등 총 570건의 안전성 검사 또한 실시했다. 그 결과 양식수산물 2건(항생물질 기준초과) 외에는 모두 기준에 적합했다. 부적합 수산물은 출하 연기토록 조치, 출하 전 재조사 등을 실시하는 등 지속 관리했다.

강현주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생산과 거래 이전단계 수산물 안전성 조사를 꾸준히 확대해 시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수산물 생산·공급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