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성장프로젝트 사업 공모 선정··· 국비 23.3억원 확보, 청년 일자리 원스톱 지원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고용노동부가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청년성장프로젝트 사업’ 공모에 선정, 국비 23억3000만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청년성장프로젝트 사업’은 청년들이 ‘니트족’(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즉 학업이나 일·구직을 하지 않는 이들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올해 고용노동부가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고용노동부와 지자체가 협업해 실업 초기 청년을 발굴하고 구직의욕 고취를 돕고 경력설계, 진로 탐색, 실전 취업 준비 등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취업 지원과 직장 적응, 지역 정주까지 지역 중심의 청년 취업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부산경영자총협회, 부산경제진흥원과 협약을 맺고 국비 23억3000만원, 시비 8억1000만 원 등 총 31억4000만원을 투입해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청년카페 운영) 6000명, 직장 적응 지원 프로그램 1000명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인재 발굴과 육성 ▷기업발굴과 매칭 ▷기업 적응 ▷고용유지의 4단계 지원체계로 부산지역 청년수요 맞춤형 토털케어 시스템을 구축 예정이다.
청년두드림센터 개편으로 청년잡(JOB) 성장카페 2개소를 구축하고 초기상담으로 청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또 내담자의 자신감 회복, 취업 집중, 진로 집중의 세 가지 프로그램 트랙으로 실질적인 청년의 취업과 사회 복귀를 돕는다.
또 청년이 선호하는 직무나 직종 등 현장 경력 3년 이상인 전문가로 구성된 청년기업발굴단으로 매출·순이익, 평균 재직기간, 임금 수준 등을 기준으로 한 기업 DB를 구축하고 전문직업상담사로 구성된 매칭전문가단을 운영해 청년-기업 매칭 서비스 지원과 사후관리까지 청년 일자리 원스톱 지원을 위한 거점으로 특화한다.
이에 더해 사회생활을 막 시작한 청년들이 직장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도록 맞춤형 상담과 의사소통 능력 교육 등을 제공해 장기근속을 이끌고 기업대표, 인사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청년 친화 조직문화교육도 진행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지역 청년 유출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일자리 부족이다. 매년 채용시장 악화로 구직을 단념하는 청년들이 증가 추세”라며 “청년 특성에 맞는 수요자 맞춤형 역량 강화와 조직문화 개선, 취업 확대로 청년들이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도시, 부산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