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여 명 담당자 역량‧전문성 강화와 기관 간 협력체계 이뤄

시는 방사능방재 업무담당자 직무워크숍에서 기관별 실무자의 방사능방재 역량을 높이고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제공=부산시
시는 방사능방재 업무담당자 직무워크숍에서 기관별 실무자의 방사능방재 역량을 높이고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 27일 오후 2시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방사능방재업무 담당자 직무 워크숍’을 개최했다. 

지역 방사능방재업무 담당자가 관련 직무의 기초지식을 배우고 최신 정보를 공유한 이번 워크숍에 16개 자치구·군과 학교의 갑상샘 방호약품, 라돈측정기 대여,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담당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방사능재난·비상 등의 사태 발생 시 주민보호 대책을 마련했다. 

강의는 원자력 및 방사선, 재난전문가로 꾸려진 방사능재난 시 주민보호체계, 갑상샘 방호 약품 복용지침과 관리 그리고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관리 등 분야별 실무 중심으로 진행됐다. 또 그간 방사능재난 대비 교육·훈련에서 제기된 현장의 애로사항, 기관별 문제점과 개선방향 등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워크숍에서 기관별 실무자의 방사능방재 역량을 높이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며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 등 기관 간 협력 체계를 더욱 강화했다. 오는 4월1일 ‘지방재정법개정’ 시행에 따라 시로 교부되는 지역자원시설세의 20% 내에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기초지자체에 방사능방재 업무를 위한 예산을 교부해야 하는 만큼 이번 교육의 의미가 크다.

김경덕 부산시 시민안전실장은 “이번 워크숍으로 방사능재난 대응 민·관·유관기관이 허심탄회하게 소통해 부산 방사능재난 대응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했다”며 “향후 자치구·군과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이뤄 부산이 방사능재난 대비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