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하마·도쿄 도시재생‧상권 활성화‧스마트시티 현장 시찰

시는 각종 공연과 전시, 상품 판매가 가능한 문화상업시설인 요코하마의 아카렌가 창고 등 일본 선진도시 벤치마킹을 시행했다. / 사진제공=양산시 
시는 각종 공연과 전시, 상품 판매가 가능한 문화상업시설인 요코하마의 아카렌가 창고 등 일본 선진도시 벤치마킹을 시행했다. / 사진제공=양산시 

[양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양산시(시장 나동연)는 혁신적 도시 재창조 정책을 마련하고 선진도시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자 일본 주요 도시 벤치마킹에 나섰다. 

30명 규모의 시찰단을 꾸려 지난 4~8일까지 4박5일 일정으로 일본 요코하마와 도쿄 방문에 나선 시는 ▷현지 도시활성화 ▷도시개발 ▷상권 활성화 ▷스마트시티 조성 등 우수한 계획도시 현장과 지역 자원을 활용한 도시 재창조 현장을 확인코자 자료수집은 물론 관계자 설명을 듣고 질의 응답하는 시찰 일정을 가졌다. 

박청운 건축주택국장을 단장으로 한정우 정무특보를 비롯한 관계 공무원과 시 도시재생지원센터와 관련 전문가가 참여한 이번 시찰에 도시재생과 농촌 활성화 추진 지역주민 15명도 함께했다. 

본래 나동연 시장의 시찰이 예정됐지만 의료계 집단행동과 지역 응급의료기관인 웅상중앙병원의 폐업으로 시민 의료 이용 불편 최소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돼 전격 취소했다. 

시찰단은 요코하마 신청사를 시작으로 ▷요코하마 창조도시센터 ▷더타워 키타나카 전망대 ▷에어캐빈 ▷아카렌가 창고 ▷후지사와 SST ▷카시와노하 UDCK ▷마루노우치와 메구로구 일대 등 20여 곳을 둘러봤다. 

요코하마 국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윤장식 교수와 니켄세케이(日建設計) 관계자 등이 현장설명과 질의답변을 거쳐 사업 추진과정을 확인하고 시에 접목 방안을 찾는 시간을 가졌다. 

지하 2층, 지상 32층, 옥탑 2층 약 155m 규모의 요코하마 신청사는 시민을 위한 공간과 상업시설이 함께 들어섰다. 저층부인 1층부터 3층까지 공연과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아트리움 등 시민 이용시설과 상업시설이 중층부인 4층부터 8층까지는 의회가 고층부인 9층부터 31층까지 시청 업무공간이 자리했다. 

시찰단은 요코하마 창조도시센터 일대 도시 내 역사적 건물을 재탄생시켜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관광 활성화의 주역으로 변모시킨 점에 큰 관심을 보였다. 1929년 건립된 은행 건물을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재생시킨 뱅크아트 1929가 그 대표적 사례다. 

각종 공연과 전시, 상품 판매가 가능한 문화상업시설 1902년 지은 정보 보세창고인 아카렌가 창고를 각종 공연과 전시, 상품 판매가 가능한 문화상업시설로 활용하는 등 민‧관 파트너십이 일군 결과 또한 주목했다. 

또 시찰단은 일본 최초 도심 순환 곤돌라 리프트인 요코하마 에어캐빈에 관심을 뒀다. 2021년 4월부터 운행을 시작해 사쿠라기초역에서 운가파크역까지 630m를 40m 높이에서 왕복 운행하는 요코하마 에어캐빈은 8명까지 탑승 가능한 36개의 리프트로 요코하마의 대표 관광 명물이다. 

이후 도쿄로 이동한 시찰단은 도시재생과 도시디자인 성공 사례인 마루노우치와 메구로구 일대를 둘러봤다. 마루노우치 일대는 도쿄역과 황거(皇居‧일본 천황과 가족들이 사는 궁) 사이 침체된 도심 활성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에 주력한 지역이다. 

이곳은 건물 노후화로 먼저 토지소유자가 사업을 제안하고 재개발협의회를 구성해 사업을 추진했다. 근대 건축물의 보전과 활용으로 지역 역사성을 충분히 살렸고 민간이 개발하면서 충분히 녹지공간을 조성해 시민들이 자주 찾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또 메구로구 일대는 고속도로 IC 위에 유휴 공간을 도심 속 공원으로 바꿔 삭막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은 사례다. 

시찰단은 이외에 첨단기술을 활용해 도시를 개발하고 친환경 마을을 조성한 후지사와 SST(Sustainable Smart Town), 카시와노하 UDCK(어반디자인센터)에서 기업을 포함한 주민과 행정, 대학의 자유로운 연계가 스마트도시 조성의 시작이었음을 확인했다. 

박청운 시찰단장은 “행정과 민간의 협업으로 지역 특성을 살리면서도 새롭게 도시를 창조하는 일본 요코하마와 도쿄의 선진 사례를 보고 배운 시간이었다”며 “이번 벤치마킹을 기회로 삼아 혁신적인 도시 재창조를 위한 시의 다양한 정책 개발로 구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