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 조성 탄력… 최종 1010억원 확보, 한국벤처투자 운용사 확정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지역 주도로 부산 혁신기업의 성장을 위한 투자생태계 인프라 확대에 시작이 될 지역 사상 최대 규모의 모펀드 조성 사업이 결실을 본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 29일 역대 최대 1000억원 규모의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 조성에 당초 확보된 산업은행 500억원과 부산시 출자금 50억원, BNK금융지주 100억원 외에 부족한 360억원(정부의 모태펀드 자금 250억원, 기타 110억원)을 추가 확보하고 한국벤처투자를 운영사로 최종 확정했다고 전했다.
지난 2월 중소벤처기업부 출자사업 공고 관련 시의 제안과 신청이 최종 선정돼 모태자금 250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고 기타 110억원은 금융권 출자심의 등을 거쳐 확정된다.
상반기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 결성으로 하반기부터는 2500억원 이상의 자펀드 조성이 이어지면 최근 투자 생태계의 어려움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지역펀드는 정부 주도의 펀드 조성에 지자체의 출자 참여를 골자로 하는 소극적 역할에 그쳤다면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는 지역이 주도하는 첫 사례다.
미래성장펀드는 규모도 대형으로 이례적이지만 자펀드의 운용도 혁신적이다. 시는 산업은행과 함께 펀드 운용 전략을 세워 지역 투자 생태계의 미래성장을 위한 변화를 끌어내고자 노력했다.
펀드 운용에 지역의 특성과 역량을 고려해 리그제 ▷지역(모펀드의 40%) ▷수도권(모펀드의 50%) ▷글로벌(모펀드의 10%) 운영을 도입하고 자금을 효율적으로 나눠 각 리그의 역할을 거쳐 지역 투자 생태계의 취약점을 개선하는 복안이다.
지역 리그에서는 지역의 액셀러레이터(AC)와 벤처캐피털(VC)만 운용사로 참여 가능하다. 모펀드에서 최대 70%까지 출자해 창업 초기부터 도약기에 해당하는 지역기업에 주력 투자하는 방식이다. 지역 토종 액셀러레이터(AC)와 벤처캐피털(VC)을 키우고 지역의 유망 스타트업을 성장‧지원한다.
수도권과 글로벌리그에서 각각 전국 관계망을 보유한 벤처캐피털(VC)과 해외 관계망을 가진 벤처캐피털(VC)로 수도권 소재의 우수한 운용사가 참여토록 해서 모펀드에서 최대 30%까지 매칭 출자해 펀드를 결성한다. 전국 단위 또는 해외 진출이 필요한 지역 혁신기업의 확장을 지원한다.
정책자금과 민간자금이 결합한 대형 펀드의 공공성과 수익성 확보차 펀드 운용 설계에 산업은행의 축적된 펀드 운용 전략과 관계망 역량이 핵심 역할 중이며 구체적 사항은 이후 출자기관 간 협의로 확정된다.
이로써 지역 토종 투자사는 펀드 결성에 어려움을 덜고(최대 70% 지원), 수도권의 우량 투자사에게 규모의 투자를 받은 지역 스타트업은 후속 투자에도 탄력을 받게 된다. 우량 투자사의 지역 투자 유치 경험은 또 다른 지역 투자사의 지역 관심으로 이어져 투자사와 국내외 유망 스타트업의 지역 유치가 확대되리라 기대된다.
지역 투자 규모에서는 통상 시 출자금의 2~3배 규모였지만 실질적으로 ‘미래성장펀드’는 시 출자금의 12배(시 50억 원 출자, 지역투자 600억 이상) 이상의 지역 투자가 이뤄지리라 기대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곧 결성될 모(母) 펀드는 지역 혁신기업의 성장을 위한 자금 공급에 필요한 종잣돈으로 자(子) 펀드 투자기업의 후속 투자를 끌어내는 마중물 역할로 지역에서 우수한 혁신기업이 많이 키워내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