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대규모 국제행사 성공리 마무리, 시와 유관기관, 업계 등 원팀이 일군 성과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18일 2024 국가산업대상 ‘7th National Industry Awards’ 산업 브랜드 부문에서 ‘마이스산업 선도도시’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산업정책연구원(IPS)이 주최하는 ‘국가산업대상’은 우수한 경영 능력과 차별화된 제품으로 경쟁력을 높여 국가 산업 발전에 크게 힘쓴 기업·기관·브랜드를 선정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선정으로 시는 다시금 마이스 선도도시로 세계적 영향력을 입증했다. 그간 시는 코로나로 침체된 지역 마이스산업의 도약을 위해 국내 지자체 중 유일하게 마이스(MICE) 유관기관과 업계 등 원팀(one-team)을 구성, 마이스 유치와 홍보 마케팅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24 유엔(UN)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170개국 3000명) ▷2024 싱가포르 허벌라이프 포상관광단(13개국 3000명) ▷2025세계도핑방지기구 총회(191개국 3000명) ▷2026 세계신경중재치료학회 총회(40개국, 1400명) ▷2027 국제통계기구 세계통계대회(111개국 3000명) 유치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유치하는 성과를 일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건 오는 10월 부산에서 지난해 코로나로 중단된 기업회의 인센티브 유치 실적이다. 시의 선제적 마케팅으로 싱가포르 허벌라이프 포상관광단 3000명 행사가 개최된다. 지난 2016년 중국 웨이나 포상관광단 2000명 이후 단일 포상관광단 행사로는 최대 규모다.
또 지난 2020년 부산이 해운대국제회의복합지구로 지정되면서 국제회의 공간 활용과 기반 조성, 산업생태계 조성, 국제회의 집적시설 지원 등 ‘마이스 도시 부산’으로 해비뉴(HAEVENUE)라는 브랜드를 구축하는 중이다. 지난해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도시 7개 지자체 중 최대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
부산 대표 마이스 축제로 마이스 업계뿐 아니라 관련 대학과 시민 등 다양한 주체가 모여 마이스 산업의 발전 방향을 찾고 구성원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마이스페스티벌’은 마이스 산업의 저변 확대를 도모하는 자리로 올해 13회째를 맞아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벡스코는 부산 대표적 마이스 시설로 지난해 ▷전시회 102건 ▷회의 784건 ▷이벤트 행사 169건 등 행사 개최 건수가 감염병 일상적 유행 이후 회복세를 보였다. 올해 세계지질과학총회, 플라스틱협약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 등 주요 국제행사 개최와 대형 국제회의 유치를 위해 시와 부산관광공사가 함께 협력 중이다. 또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 전시시설의 통합플랫폼 구축, 전사적자원관리(ERP)시스템 고도화 등 마이스산업 기반시설 구축과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 중이다.
한편 시는 2024년 마이스(MICE) 유치 다변화, 마이스 유치결정권자 초청 팸투어, 융복합형 마이스행사 유치와 전시 등 중대형 위주의 고품격 국제회의와 기업회의·인센티브 유치 마케팅으로 차별화 전략을 펼쳐 나가는 중이다.
수도권 소재 협·학회 등과의 교류망 협력을 위해 지난 2월 부산관광공사와 벡스코, 지역 호텔 등과 연계해 ‘Meet Busan in 서울’ 행사를 진행했다. 또 최근 국제적 유행을 반영한 특별한 곳에서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고객 요구에 맞춰 부산유니크베뉴 23곳을 발굴·지정하고 코리아유니크베뉴 5곳과 함께 중소형 행사를 개최 가능한 명소로 홍보해 고객의 주목을 끌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과 관광지를 보유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이 ‘마이스산업 선도도시’로 인정받아 기쁘다. 고부가가치 마이스산업이 부산 관광의 질적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인 만큼 시는 계속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