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산림재난 대응 산림토양정보의 미래’ 주제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기후변화·산림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산림토양정보의 미래’라는 주제로 산림공간정보 활용증진을 위한 전문가를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산림공간정보(FGIS)란 우리나라 국토의 63%를 구성하고 있는 산림의 나무, 물, 토양 및 암석 등의 위치와 속성을 공간정보로 나타내는 디지털 산림지도이다.
디지털 산림지도 종류로는 △나무의 수종별 분포, 영급, 밀도 등을 표현한 임상도 △경사도, 모암, 흙의 깊이와 성질 등 토양환경을 담은 산림입지 토양도 △산림토양이 얼마나 물을 머금을 수 있는지 분석한 산림물지도 등이 있으며 이를 활용해 산사태위험지도, 산지구분도 등을 구축하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산림재난 예방을 위한 산림물지도의 활용(서울대 임상준 교수), 산림토양분야 탄소흡수원 확보 방안(고려대 손요환 교수), 위성 및 산림물지도 정보를 이용한 산림토양 건조 민감도 평가(국립산림과학원 최형태 연구관), 임상도 지능화 방안 및 추진계획(한국임업진흥원 지동훈 실장) 등이 논의됐다.
이미라 산림청 기획조정관은 “2025년 발사되는 농림위성 정보가 제공되면 더욱 정확한 산림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며 “과학적인 산림정책을 통해 기후위기, 산림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선영 기자
suny8000@hkb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