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세계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기념식 개최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서울 청계광장에서 ‘세계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산림청은 국제사회의 사막화 방지 노력에 동참하고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매년 행사를 개최해 오고 있다. 올해는 몽골 등 해외에서 사막화 방지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과 민간단체, 국제기구 및 환경동아리 학생들이 함께 자리했다.
행사 전 외빈 환담식에서 남성현 산림청장은 주한 카자흐스탄 대사와 만나 지난 12일 카자흐스탄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정상회담에 따른 산림협력 체결에 대한 후속 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주한 카자흐스탄 대사와 몽골 대사의 축사와 함께 서울 상신초등학교, 서울 장안중학교, 부산 동래원예고등학교 등 초‧중‧고 환경동아리 학생들이 매년 6월17일을 기억하고 사막화 방지에 참여를 독려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어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를 비롯해 대한항공, 미래의 숲, 유한킴벌리, 이마트, 지구촌나눔운동, 평화의 숲, 푸른아시아, 한국숲사랑청소년단 등 9개 기관을 홍보대사로 위촉하고 위촉패를 수여했다.
부대행사로 청소년 대상 숲사랑 작품 공모전과 영어 발표대회가 개최됐으며 현장에서는 반려 식물 나눔행사와 화분만들기 등 체험부스가 운영됐다.
한편, 산림청은 2006년 5월 한-몽 정상회담에서 황사 및 사막화 방지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같은 해 11월 ‘한-몽 그린벨트 프로젝트 제1단계(2007~2016)’ 사업을 위한 산림협력을 체결했다. 2007년부터 몽골 울란바토르에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을 설립하고 몽골의 사막화 및 황사 방지를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1단계 사업은 조림사업으로 몽골의 3개 지역 총 3046ha에 싹사울, 비술나무 등을 심었다.
또한 각 조림 사업지에 양묘장을 조성하고 약 8천 명에 이르는 몽골인에게 조림 교육을 실시했다. 2010년 몽골정부가 식목일을 지정하고 산림관련 법령을 정비하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제2단계 사업(2017~2021)은 도시숲 조성사업으로 심각한 대기오염에 시달리는 울란바토르 시민들을 위해 울란바토르 북쪽에 몽골 최초의 도시숲을 조성해 녹색 휴식 공간을 제공했다.
제3단계 사업은(2022~2026)는 산림복원 사업으로 몽골 북부 산불훼손지를 복원하고 산불 대응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몽골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밖에도 몽골 내 조림지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혼농임업과 생태관광, 기업과의 민관협력 참여숲 조성, 10억 그루 나무심기 지원사업 등 몽골과의 협력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선진 산림기술을 다양한 방면으로 전수해 오고 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최근 전 세계 토지 40%가 황폐화 됐고 전체 인구의 절반이 식량난, 가뭄,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UN 사막화방지협약 채택 3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은 글로벌 산림 중추 국가로서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참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