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동식물이 함께 누려야 할 공간 ‘사유화’ 비판
[환경일보] 서울 강남구(구청장 조성명)는 6월 26일 탄천 파크골프장 준공식을 개최한다. 탄천 파크골프장은 강남구 세곡동 일대 탄천 둔치에 2만4552㎡, 27홀로 서울 최대 규모로 조성됐다.
최근 파크골프가 시니어층 사이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로 떠오르며, 도심 곳곳 공원이나 하천에 파크골프장이 늘어나고 있다.
하천에서 살아가는 생물을 쫓아낼 뿐 아니라 모든 시민이 함께 누려야 할 공간을 특정 동호인들이 사유화한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대한파크골프협회에 따르면 파크골프장 하나의 코스(9홀)를 조성하기 위해선 약 8250㎡의 면적이 필요하다.
파크골프장 코스 하나가 축구장 면적(7140㎡)보다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는 셈이다.
그러나 도심에서 파크골프장을 조성할 부지를 찾을 수 없으니, 자치구는 공원과 하천으로 눈을 돌려 파크골프장을 조성해 왔고, 서울에 조성된 파크골프장 13곳 중 10곳이 하천에 자리 잡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6월 4일 열린 ‘제24회 대한노인회 서울시연합회 시니어올림픽’ 축사에서 “2026년까지 파크골프장 77곳(700홀)을 추가로 조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오 시장은 “파크골프장 조성에 한강과 지천변의 공간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두 달 전 환경부 장관, 한강유역관리청장을 만나 각별히 부탁해 하천점용 허가를 융통성 있게 해 주기로 약속을 받아냈다”고 자랑했다.
서울환경연합은 “지금도 이미 각종 체육시설이 난립한 하천부지에 향후 2년간 파크골프장 77곳을 추가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은 명백히 과도하다”며 “하천부지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지 않는 것은 여름철 집중호우로 일시적으로 불어난 유량을 받아낼 최소한의 안전장치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파크골프장 둘레를 두른 2미터 넘는 높이의 펜스는 하천 생태계를 단절할 뿐 아니라 홍수로 인해 둔치로 물이 넘쳤을 때, 유수 흐름을 방해해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도 있다.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이 점점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서식지에서 쫓겨난 생물의 다양성이 급속히 사라져가는 시기에 하천변 파크골프장 건립이 부적절한 이유다.
서울환경연합은 “앞으로도 도시공원과 하천의 공공성을 지키고 파크골프장 등으로 훼손되는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해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