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금융위, 대법원 법원행정처,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외교부 실적 미달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공공부문의 저공해자동차와 환경친화적자동차에 대한 2023년 구매·임차 실적과 2024년 구매·임차 계획을 공개했다.
2023년부터 국가기관, 지자체, 공공기관은 ‘대기환경보전법’과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신규 차량 중 무공해차(전기·수소차)를 100% 이상의 비율(차종별 환산 실적 적용)로 구매·임차해야 한다.
양 부처가 2023년 구매·임차 실적이 있는 660곳의 기관을 확인한 결과, 목표를 달성한 기관 수는 전년과 동일한 612곳, 미달성 기관 수는 전년 대비 5곳이 감소한 48곳으로 나타났다.
실적이 미달된 국가기관은 ▷관세청(26.1) ▷금융위원회(37.5) ▷대법원(법원행정처)(83.7) ▷새만금개발청(0) ▷소방청(35.6) ▷외교부(75) 6곳이다.
실적 미달 지자체는 서울특별시 중구청(0), 서울특별시 강남구청(74.1), 광주광역시 서구청(33.5), 강원도 원주시청(77), 강원도 영월군청(50), 강원도 평창군청(71.4), 강원도 정선군청(46.1), 강원도 철원군청(14.2), 충청북도 음성군청(61.3), 충청남도 태안군청(10), 전라북도 완주군청(77.1), 전라남도 영암군청(91.9), 경상북도 청도군청(96.9), 경상남도 산청군청(52.2) 14곳이다.

실적이 부족한 공공기관은 그랜드코리아레저㈜(25), 대한석탄공사(75), 축산물품질평가원(7.1),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94.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75), 한국원자력의학원(0), 대한법률구조공단(75), 한국문화예술위원회(0), 코레일로지스㈜(50), 중소기업유통센터(0), 정보통신정책연구원(0), 성남도시개발공사(0), 화성도시공사(80), 강원도개발공사(50), 충북개발공사(75), 부산테크노파크(0), 대구광역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0), 인천종합에너지(주)(50), 울산연구원(0), 안산도시개발㈜(0), 경기복지재단(0), 성남시의료원(0), 강원연구원(0), 재단법인 춘천지역먹거리통합지원센터(0), 농업회사법인(주)동부팜(0), 경상북도포항의료원(0), 경북문화재단(50), 울산문화관광재단(0) 28곳이다.
기관장 차량으로 무공해차를 운영하는 기관은 225곳으로 전년보다 18곳이 늘어났다. 또한 660곳의 기관에서 총 8844대의 신규 차량을 구매·임차했고, 이 중 무공해차는 7516대(85.0%)로 확인됐다. 이는 전년보다 1131대, 5.9%p 증가한 것이다.
한편, 올해(2024년) 의무 대상 765곳의 기관에서 구매하거나 임차하려는 차량은 총 5806대이며, 이 중 무공해차는 90.2%인 5239대로 조사됐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목표 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분기별로 실적을 점검하고 무공해차 의무 구매·임차 목표를 달성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정선화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공공부문에서 선도적으로 무공해차를 보급할 수 있도록 2023년부터 무공해차 의무구매·임차 비율을 100%로 강화했다”며 “2024년에도 공공부문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무공해차 보급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