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 11개 기관 착수회의 개최

[양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양산시(시장 나동연)는 8월8일 ‘우주항공과 방산용 실란트 소재의 초격차 기술개발과 실증사업’ 착수회의를 시작으로 본격 사업을 추진한다고 전했다.
이번 회의에는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재)경남테크노파크를 주관기관으로 노루페인트(주), 그린케미칼, 서울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주)새론테크, 부산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총 11개 기관이 참여했다.
회의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향후 계획을 논의하고 컨소시엄 과제별 주요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사업은 실란트 국산화를 위한 실증평가 장비를 구축하고 기업을 지원하는 기반조성 사업과 연료탱크 보호와 부식방지용 실란트, 항공기 동체 보수용 실란트를 개발하는 기술개발 사업으로 구분된다.
2028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345억원을 들여 실란트의 국내 기술력 향상을 도모하고 국산 전투기에 적용 가능한 실란트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우주항공과 방산용 실란트는 연료탱크 누설 방지, 객실과 조종실의 압력 유지, 비행 중 부품 풀림 방지 등에 사용되는 물질로 항공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다. 건축과 일반산업용 소재와는 달리 최고 수준의 성능이 요구되지만, 현재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우주항공과 방위산업의 안정적인 소재 공급과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산화가 시급하다.
이번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양산혁신지원센터에는 우주항공소재 실증지원센터가 새롭게 설립될 계획이다. 실증지원센터는 실란트의 시험평가를 위한 첨단 장비 5종 38대를 갖추고 국내 기업들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시 관계자는 “국내 우주항공과 방위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국산화 성공을 목표로 한 발짝 더 나아가게 될 것이다. 이번 사업으로 국내 실란트 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리라 기대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