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청회와 주민설명회 등 거쳐 의견 수렴, 내년 7월 수립 목표

부산시가 '2035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가 '2035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환경일보] 장가을 기자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35 부산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도시재생전략계획’은 도시 쇠퇴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10년간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도시재생 기본계획으로 2025년 7월 수립 완료가 목표다. 

2015년에 최초 수립, 2020년에 한 차례 변경한 ‘도시재생전략계획’을 통해 2016년부터 총 35곳 마을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정주환경 개선 ▷골목상권 활성화 ▷지역 특화사업 발굴 ▷마을공동체 회복 사업 등을 실시했다.

그러나 최근 도시 현황의 급속한 변화로 그 원인을 분석해 지역적 여건 변화와 특성에 맞는 비전·목표·추진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새로운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이번에 수립하고자 한다.

이번 계획에는 ▷경제거점 조성을 위한 혁신지구사업 대상지 발굴 ▷저층 주거밀집 지역에 대한 생활 여건 개선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강화 등 기존 도시재생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도시재생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내용을 담게 된다. 

도시 쇠퇴지역의 기준은 ▷최근 5년간 인구수 연속 감소 ▷최근 5년간 사업체 수 연속 감소 ▷20년 이상 노후주택 50% 이상인 지역이다. 물리 환경, 인구사회, 산업경제 부문의 도시여건과 쇠퇴도가 변화하자 각 행정동과 마을 단위로 전면적인 기초조사와 쇠퇴진단을 거쳐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지정을 재분석할 예정이다.

시는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등을 열어 쇠퇴지역 활성화 방향 관련 지역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해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립과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지정할 예정이다. 

현황조사와 각 지자체 의견 청취,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개최, 의회 의견 청취, 시민참여단과 전문가 자문단 운영 등을 거쳐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계획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이 완료된 마을 주민의 자립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 시설물 관리 방안 등도 제시할 계획이다. 

하성태 부산시 주택건축국장은 “도시재생사업은 도시가 비교적 쇠퇴해 도시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의 주민참여와 관심에서 시작하는 상향식(bottom-up) 사업이다.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과정에서부터 지역주민이 참여, 주도해 체감도 높은 계획을 수립·추진해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