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시설 미비로 사고 위험 우려, 레미콘 잔여물 등 폐기물 무단 방치

관리되지 않은 채 수개월째 방치 중인 임목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관리되지 않은 채 수개월째 방치 중인 임목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경북=환경일보] 김성재 기자 =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발주해 시행 중인 구미~군위IC 구간 2차로 신설개량 공사현장은 안전보호시설 및 폐기물 관리 등 규정을 벗어난 부실관리로 인해 안전사고와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안전보호시설이 설치 되지 않아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사진=김성재 기자
안전보호시설이 설치 되지 않아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사진=김성재 기자

해당 공사 구간은 10km로, 교량 7개소와 교차로 및 회전교차로 등이 건설되며, 현재 토목공사와 교량 구조물 설치 등 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다.

보양이 되지 않은 임야 절개지와 버려진 레미콘 잔여물과 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보양이 되지 않은 임야 절개지와 버려진 레미콘 잔여물과 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공사일부 구간 중 임야를 절개해 도로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절개지 위험구간에 보양과 안전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채 공사를 진행 중이며, 기존 도로 길 어깨 성토부분도 차량 안전보호시설이 없어 교통사고의 위험도 도사리고 있다. 

특히 공사 구간 내 현장근로자 일부는 안전보호장구도 착용하지 않아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관리되지 않은 채 방치 중인 혼합페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관리되지 않은 채 방치 중인 혼합페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폐기물도 관리되지 않은 채 현장 여러 곳에서 무단으로 방치되고 있어 환경오염 우려가 심각한 실정이다.

공사구간 내  흩어져 방치 중인 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공사구간 내  흩어져 방치 중인 폐기물 /사진=김성재 기자

임목폐기물을 보관 중인 적치장에는 잡초와 수풀에 묻혀 수개월째 방치 중인 임목폐기물 더미와 최근 발생한 임목폐기물이 보양과 폐기물 관리 규정을 무시한 채 보관 중이다. 

임목폐기물 적치장 주변은 물론 레미콘 타설 후 버려진 잔여물이 공사장 내 여러 곳에서 발견됐다.

공사현장에 건설폐기물과 각종 생활폐기물 등이 뒤섞여 방치되고 있다. /사진=김성재 기자
공사현장에 건설폐기물과 각종 생활폐기물 등이 뒤섞여 방치되고 있다. /사진=김성재 기자

폐콘크리트 폐기물과 혼합폐기물 등도 폐기물 적치장에 보관하지 않고 여러 곳에 방치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기름유출 현장 /사진=김성재 기자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기름유출 현장 /사진=김성재 기자
길바닥에 버려진 레미콘 잔여물과 기름유출 현장 /사진=김성재 기자
길바닥에 버려진 레미콘 잔여물과 기름유출 현장 /사진=김성재 기자

또한 공사장 주변에서 쓰레기 불법소각 흔적과 기름유출 흔적 등이 발견됐으며, 공사장 일부 구간에는 쓰레기장을 방불케 할 정도의 쓰레기가 산적해 있어 주변 정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공사자재인 철근과 철근구조물도 보양이 되지 않아 녹슨 채 방치 중이라 관리감독 기관의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쓰레기를 불법으로 소각한 흔적 /사진=김성재 기자
쓰레기를 불법으로 소각한 흔적 /사진=김성재 기자

이와 관련해 시공사인 K사 현장대리인과 안전관리자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대책을 묻자 “지적한 부분과 문제점을 인지하고 빠른 시일 내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보양하지 않아 녹슨 채 방치 중인 철근자재 /사진=김성재 기자
보양하지 않아 녹슨 채 방치 중인 철근자재 /사진=김성재 기자

부산국토관리청 공사담당자와 관리책임자는 전화 통화도 되지 않으며, 현장대리인을 통해 현장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현장대리인에게 언론에서 지적한 부분은 빠른 시일 내 조치하라는 지시만 하고 인터뷰를 거절한 상황이다.

녹슨 채 방치 중인 철근 구조물 /사진=김성재 기자
녹슨 채 방치 중인 철근 구조물 /사진=김성재 기자

정부 주무부처가 발주한 공사현장마저 관리감독 부재로 건설폐기물을 비롯한 각종 쓰레기가 무단으로 방치되면서 환경오염 우려가 높다. 

여기에 각종 안전수칙마저 무시하면서 사고 위험도 큰 상황이지만 주무부처인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언론과의 접촉마저 피한 채 변명으로 일관하는 상황에, 인근 지역주민들의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