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 폐사 1위는 ‘웃는 돌고래’ 상괭이 3839건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

[환경일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2019~2023년)간 해양보호생물 폐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혼획, 좌초, 표류, 불법포획 등으로 인해 폐사된 해양보호생물은 최근 5년간 총 5618마리로, 폐사 해양보호생물 중 압도적 1위는 웃는 고래로 불리는 ‘상괭이’ 3839건(68.3%)로 나타났다.

한편, 상괭이 외에도 최근 5년간 폐사 해양보호생물은 ▷참돌고래 1240건 ▷낫돌고래 249건 ▷붉은바다거북 93건 ▷푸른바다거북 91건 ▷남방큰돌고래 31건 ▷점박이물범 27건 순으로 확인됐다.

‘상괭이’는 우리나라 토종돌고래로 우리나라 서남해 전 연안과 동해 남부 연안에 걸쳐 서식하고 있으며, 2004년 서해 연안에 3만6000여 마리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16년 1만7000마리 이하로 급감해 해양수산부는 2016년부터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폐사 해양보호생물 중 압도적 1위 웃는 고래로 불리는 ‘상괭이’(68.3%) /사진제제공=국립수산과학원
폐사 해양보호생물 중 압도적 1위 웃는 고래로 불리는 ‘상괭이’(68.3%) /사진제제공=국립수산과학원

국제적으로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Ⅰ, 국제포경위원회(IWC) 포획금지종,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취약종으로 지정돼 있는 멸종위기종이다.

상괭이의 폐사 원인으로는 어업 활동 중에 잡혀 죽은 ‘혼획’이 2174건(56.6%)으로 가장 많았고, ‘좌초’는 1144건(29.8%), ‘표류’ 520건(13.5%)순이었다. 불법 포획으로 인한 폐사는 1건으로 확인됐다.

매부리바다거북 혼획 /사진제공=
매부리바다거북 혼획 /사진제공=김선교 의원실

김선교 의원은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는 상괭이뿐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보호생물의 보호를 위해서는 혼획방지 어구 개발 및 보급뿐 아니라 해양보호생물 보호에 대한 대국민 인식전환을 위한 교육·홍보도 강화해야 하고, 해양보호생물의 서식지 보전과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