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염서영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환경일보] Wildfires are fueled by a knot of factors, both natural and human-caused, but scientists say that global warming is loading the dice in favor of more intense and severe blazes. Hotter temperatures are the clearest climate change-fueled contributor to wildfires. Heat sucks the moisture from vegetation making it much more explosive.

‘Drier fuels are a critical part of fire, the drier the fuel the easier it is to start a fire,’ said Mike Flannigan, professor of wildland fire.

Two recent fires in California’s Mojave National Preserve are examples, Those fires took advantage of invasive red brome grass and burned hundreds of thousands of acres of Mojave Desert and over a million iconic Joshua Trees.

The increasing hot and dry conditions then suppress native plant recovery. The result is more grass. With more grass and a complex web of climate stressors comes more fire risk now and increasingly in the future.

As such, the increasingly prolonged and intense drought as the world warms up makes vegetation dry and increases the likelihood of fires igniting and spreading quickly.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said, ‘The recent wildfires that occur frequently in Korea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and explained, Usually winter has a low risk of Wildfires due to low temperatures. Still, as temperatures rise recently, Wildfires concentrated in spring and fall often occur in winter.’

If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re could be a terrible large wildfire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한글 요약본]

기후 온난화로 인한 산불 위험성의 놀라움

산불은 자연적 요인과 인간에 의한 요인 모두에 의해 발생하지만,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가 더 강렬하고 심각한 산불을 부추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높은 기온은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의 가장 명확한 원인이 되는데, 열은 식생의 수분을 빨아들여 훨씬 더 가연성이 높아진다.

마이크 플래니건(야생 화재 교수)은 ‘건조기의 연료는 화재의 중요한 부분이며, 그 연료가 건조할수록 화재를 더 쉽게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캘리포니아의 모하비 국립보호구역(Mojave National Preserve)에서 발생한 두 건의 화재가 그 사례로, 이 화재는 침입성 레드 브롬 잔디를 이용하여 수십만 에이커의 모하비 사막과 100만 그루 이상의 상징적인 조슈아 나무를 태웠다.

점점 더 덥고 건조한 조건은 토착 식물의 회복을 억제하는데, 그 결과 더 많은 풀이 생긴다. 더 많은 풀과 복잡한 기후 스트레스 요인의 그물망으로 인해 더 많은 화재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듯, 전 세계가 온난화됨에 따라 점점 더 길어지고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뭄 기간은 초목을 건조하게 만들고 화재가 빠르게 발화 및 확산할 가능성을 높인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자주 일어나는 산불도 기온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면서, 통상 겨울은 기온이 낮아 산불위험도가 낮지만, 최근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봄, 가을철에 집중된 산불 발생이 겨울에도 자주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지속해서 온도가 증가한다면, 우리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끔찍한 대형 산불이 일어날 수 있다.

염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 박사
충청남도인생이모작지원센터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빙교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