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2023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증가, 감축률은 감소
[환경일보] 녹색연합은 신장식 국회의원(정무위, 조국혁신당)을 통해 국회사무처의 탄소배출 현황, 전력사용량, 차량등록 현황 등의 자료를 받아 국회사무처의 기후위기 대응 실태를 파악했다.
국회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2020년에서 2021년은 일부 줄어들었으나, 2021~2023년 2만989톤에서 2만2233톤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국회 온실가스 배출량(건물)의 기준배출량 대비 감축률은 2020년~2023년까지 14.6%, 14.3%, 12.6%, 7.2%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로 확인됐다. 국회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미흡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2020.1~2024.8) 국회 전력사용량 월별 추이를 보면 전력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회 전력사용 월별 변동을 비교하면, 5월~10월 6개월간 전력사용량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냉방비의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전기요금도 늘고 있다. 2020년 전기요금(57억1500만원)을 기준으로 했을 때 2023년 전기요금(80억3300만원)은 40.6%, 금액으로는 23억1800만원이 증가했다.

국회의 최근 5년간(2020.1~2024.8) 전력사용량 중에 재생가능한 에너지(태양광, 지열) 비율은 평균 3.5%에 그쳤다.
재생가능한 에너지 사용 최대 비율은 2022년 1월 15.5%였으며, 최소 비율은 2022년 10월, 2023년 4월에 1.1%밖에 되지 않았다.
태양광만 보면 평균 1%, 사용비율 구간은 0.4~2%이며, 지열의 경우 평균 2.5%, 사용비율 구간은 2.5~14.8%이다.
국회 재생가능한 에너지 비율이 낮은 것도 문제이지만, 운영도 비효율적이다. 재생가능한 에너지 비율을 1월만 살펴보면 2020년 3.9%, 2021년 4.1%, 2022년 15.5%, 2022년 5.5%, 2023년 2%이다.
독일연방의회가 11년 전 2013년 재생가능한 에너지 비율이 30%에 도달한 것과 대조된다.

국회의 전기차 운행 현황을 살펴보면, 국회 관용차량 전기차 비율은 17%(총 47대 중 8대), 국회 등록 차량 전기차 비율은 2.5%(4,882대 중 120대)에 불과했다.
전국 비사업용 전기차 등록 비율 2.1%보다 높았지만, 2021년 서울시 관용차 중 전기차 비율 64.1%와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국회 의장단과 입법차장, 사무총·처장이 사용하는 총 10대 중 휘발유 차량이 8대, 하이브리드 1대, LPG 1대로 전기차는 1대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녹색연합은 “국회의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사용 노력이 매우 미흡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입법부인 국회 스스로가 기후위기 대응에 그 책임과 역할을 앞장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장식 의원은 국회를 기후·생태위기 대응을 위한 상징적인 곳으로 전환하기 위한 ‘국회 녹색전환 센터’ 설치를 제안했다.
신 의원은 “국회 녹색전환 센터가 국회의 탄소배출, 에너지뿐만 아니라 자원순환, 물순환, 녹색 교통, 녹색 교육까지 포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