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해양 투기 반대 시위
[환경일보] 10월31일 오후 2시경 동해 포항 영일만항 바닷가에서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 중단을 요구하는 캠페인이 전개됐다. 속초, 서울, 창원, 부산, 울산, 포항의 전국에서 모임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회원 15여명이 참여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2023년 8월24일 시작된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를 1년 넘게 강행하고 있다.
그동안 한차례마다 2주가량씩 매회 7800톤의 방사능 오염수를 9차례 해양투기했다.
지난 10월17일부터 11월4일까지 10차 해양투기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해양투기된 핵폐수는 8만톤이 넘는다.

한국 시민사회와 중국 정부, 태평양 여러국가들 등 지구촌 여러나라가 일본의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를 우려하고 반대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 IAEA를 등에 업고 후쿠시마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엄청난 양의 방사능오염수를 무단으로 태평양 바다에 버리고 있다.
이는 바다를 보호하기 위해 해양투기를 금지하는 유엔협약인 런던협약을 위반하는 행위다. 지구촌 많은 나라들이 핵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핵폐수 무단 해양투기는 그 자체로도 문제지만 다른 나라들도 따라서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우려가 크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바다는 쓰레기장이 아니다. 특히 위험천만한 핵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를 지상에서 안전처리하지 않고 바다로 버리는 행위는 지구촌의 미래이자 공동의 자산인 바다를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후쿠시마 핵폐수의 해양투기가 계속되면 어패류 해양생태계가 방사능에 오염되어 어떤 파국을 불러올지 크게 우려된다”고 밝혔다.
